Clinical feasibility study of Noninvasive Cardiac Radio-ablation for Treatment of Ventricular tachycardia
연구약어명
HeartSABR
식약처규제연구
아니오(No)
IND/IDE Protocol 여부
아니오(No)
타등록시스템 등록여부
아니오(No)
임상연구 요양급여 적용 신청 여부
신청 중(Submitted pending)
임상연구윤리심의 - 승인상태, 승인번호, 승인일, 위원회정보, 자료모니터링위원회 유무
2. 임상연구윤리심의
승인상태
제출 후 승인(Submitted approval)
승인번호
H-1903-015-1014
승인일
2019-06-24
위원회명
국문
서울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
영문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위원회주소
국문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
영문
103, Daehak-ro, Jongno-gu, Seoul
위원회 전화번호
02-2072-0694
자료모니터링위원회
아니오(No)
연구자정보 - 연구책임자와 연구실무담당자, 등록관리자의 성명, 직위, 기관명, 연락처 정보
3. 연구자
연구책임자
성명
국문
차명진
영문
Myung-Jin
Cha
직위
국문
조교수
영문
Assistant professor
전화번호
02-2072-4780
기관명
국문
서울대학교병원
영문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주소
국문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101
영문
101, DAEHAK-RO JONGNO-GU, SEOUL 03080, Rep. of KOREA
연구실무담당자
성명
국문
차명진
영문
Myung-Jin
Cha
직위
국문
조교수
영문
Assistant professor
전화번호
02-2072-4780
기관명
국문
서울대학교병원
영문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주소
국문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101
영문
101, DAEHAK-RO JONGNO-GU, SEOUL 03080, Rep. of KOREA
등록관리자
성명
국문
차명진
영문
Myung-Jin
Cha
직위
국문
조교수
영문
Assistant professor
전화번호
02-2072-4780
기관명
국문
서울대학교병원
영문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주소
국문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101
영문
101, DAEHAK-RO JONGNO-GU, SEOUL 03080, Rep. of KOREA
연구현황 정보 - 연구참여기관, 전체연구모집현황,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목표대상자 수, 자료수집종료일, 연구종료일, 참여기관 기관명, 참여기관 연구모집현황, 참여기관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등록여부
4. 연구현황
연구참여기관
단일
전체연구모집현황
모집 중(Recruiting)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19-08-29
실제등록(Actual)
목표대상자 수
10 명
자료수집종료일
2021-12-31
,
예정(Anticipated)
연구종료일
2021-12-31
,
예정(Anticipated)
참여기관별 연구진행현황 1
기관명
국문
서울대학교병원
영문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연구모집현황
모집 중(Recruiting)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19-08-29
,
실제등록(Actual)
연구비지원기관 정보 - 연구비지원기관 기관명, 기관종류, 연구과제번호
5. 연구비지원기관
1. 연구비지원기관
기관명
국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영문
Ministry of Science and ICT
기관종류
정부
(Government)
연구과제번호
NRF-2018M2A2B3A01070
연구책임기관 정보 - 연구책임기관 기관명, 기관종류
6. 연구책임기관
1. 연구책임기관
기관명
국문
서울대학교병원
영문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기관종류
의료기관
(Medical Institute)
연구요약 정보
7. 연구요약
연구요약
국문
비침습적 심장 방사선 치료가 치명적인 심실 빈맥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적용되고 있고 최근 Phase I/II trial 결과가 발표되며 전세계적으로 임상 적용이 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심실 빈맥에 심장 방사선 치료가 적용된 사례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기법의 심장 방사선 치료법이 국내 환자에게도 적절히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영문
Several studies reported that noninvasive cardiac radioablation could be very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fatal ventricular tachycardia. he results of Phase I / II trials have recently been published, and clinical applications are more active worldwide. However, in Korea, no cardiac radiotherapy has been applied to ventricular tachycardia under a well-designed clinical tr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ame cardiac radiation therapy can be applied to domestic patients.
(I00-I99)Diseases of the circulatory system
(I00-I99)순환계통의 질환
(I47.2)Ventricular tachycardia
(I47.2)심실성 빈맥
국문
Cardiac Arrhythmia, Ventricular Tachycardia
영문
심장 부정맥, 심실 빈맥
희귀질환 여부
아니오(No)
대상자 포함기준
성별
둘다(Both)
연령
19세(Year)~No Limit
국문
1) 심실 빈맥이 문서로 증명 된 자
[1] 최근 6개월 이내에 12유도 심전도, 리듬 스트립 또는 이식형 제세동기 장비 분석에서 증상을 동반한 심실 빈맥이 2회 이상 확인된 자
[2] 이식형 제세동기 삽입 환자의 경우 최근 6개월 이내 제세동 치료 (shock or ATP)를 경험한 자
[3] 심실 조기 수축 유발 심근병증 (좌심실 기능 50% 미만)의 경우 심실 24시간 Holter monitoring 검사에서 심실 조기 수축의 빈도가 15% 이상인 경우
2) 심실 빈맥을 위한 치료에 실패
[1] 항부정맥 약제에 적응할 수 없거나, 또는 2개월 이상의 적절한 치료에도 심실 빈맥이 조절되지 않는 자
--AND--
[2] 이전에 한번이라도 심실 빈맥에 대하여 카테터 전극도자절제술을 시도해보았으나 실패한 경우 혹은 전극도자 절제술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좌심실 혈전, 심한 폐질환, 혈관 이상, 심장 기형 등)
3) 심실 빈맥으로 인해 기대 여명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 (순환기내과 전문의 판단 필요)
4) 좌심실 기능 ≥ 15%
5) Functional class: NYHA class ≥ II
6) 19세 이상
영문
1) Documented ventricular tachycardia
[1] Symptomatic ventricular tachycardia over 2 times on 12-leads ECG, Rhythm strip or implantable devices, within recent 6 months
[2] ICD therapy (shock or ATP) within 6 months
[3] In the case of PVC induced heart failure (LVEF <50%): PVC burden is over 15% on holter monitoring
2) Failed standard therapy for ventricular tachycardia
[1] Patients who are unable to adapt to antiarrhythmic medications or whose ventricular tachycardia is uncontrolled even after 2 months of adequate treatment
--AND--
[2] Previous failed catheter ablation for ventricular tachycardia or were not suitable for catheter ablation (left ventricular thrombosis, severe lung disease, vascular abnormality, heart malformation, etc.)
3) Those whose life expectancy is expected to decrease due to ventricular tachycardia (required by the expert cardiologist)
4) Left ventricular ejection function ≥ 15%
5) Functional class: NYHA class ≥ II
6) 19 years old or older
대상자 제외기준
국문
1) 연구 등록에 동의하지 않는 자
2) 방사선 치료가 의학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자
- 방사선 치료에 적합한 자세가 불가능한 경우
- 그 외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의 판단에 의해 적합하지 않다고 판정된 자
3) 심실 빈맥 이외의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체외 순환 장치(ECMO) 혹은 좌심실 보조 장치를 가지고 있거나 고강도의 강심제 치료를 요하는 자 (Dopamine 또는 Dobutamine 정주 필요량이 10mcg/kg/min 이상인 경우)
4) 다른 질환으로 인하여, 심실 빈맥이 없더라도 기대 여명이 12개월 미만인 경우 (내과 전문의 판단 필요)
5)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자
영문
1) Those who do not agree to study registration
2) Those whose radiation therapy is not medically appropriate
-When a suitable posture for radiation therapy is not possible
-Others who are judged unsuitable by the judgment of radiation oncologist.
3) Those who have an extracorporeal circulatory system (ECMO) or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or who require high-dose inopropics due to a cause other than ventricular tachycardia, (if the dose of Dopamine or Dobutamine is higher than 10 mcg / kg / min)
4) Life expectancy is less than 12 months, even if there is no ventricular tachycardia due to other diseases.
5) Pregnant or breast fee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