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정보 국문ㆍEng

자연어처리 기술을 이용한 근거 기반 청년 정신건강 돌봄 디지털 서비스 플랫폼 개발

상태 등록

  • 최초제출일

    2024/04/03

  • 검토/등록일

    2024/05/20

  • 최종갱신일

    2024/05/17

CRIS 필수등록항목입니다.

WHO ICTRP (International Clinical Trial Registry Platform)에서 요구하는 필수등록항목입니다.

  • 1. 연구개요

    연구개요 - CRIS등록번호, 연구고유번호, 요약제목, 연구제목, 연구약어명, 식약처규제연구, IND/IDE Protocol 여부, 타등록시스템 등록여부, 임상연구 요양급여적용 신청 여부
    CRIS등록번호 KCT0009449
    연구고유번호 SKKU 2023-02-043
    요약제목

    국문

    대학생 외로움· 우울증 실태 조사 및 디지털 인터벤션의 효과 탐색

    영문

    Digital intervention effectiveness for the loneliness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연구제목

    국문

    자연어처리 기술을 이용한 근거 기반 청년 정신건강 돌봄 디지털 서비스 플랫폼 개발

    영문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digital service platform for youth mental health care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연구약어명 DMH(Digital Mental Healthcare), DI(Digital Intervention)
    식약처규제연구 아니오(No)
    IND/IDE Protocol 여부 아니오(No)
    타등록시스템 등록여부 아니오(No)
    임상연구 요양급여 적용 신청 여부 해당연구 아님(Not applicable)
  • 2. 임상연구윤리심의

    임상연구윤리심의 - 승인상태, 승인번호, 승인일, 위원회정보, 자료모니터링위원회로 구성된 임상연구윤리심의
    승인상태 제출 후 승인(Submitted approval)
    승인번호 SKKU 2023-02-043
    승인일 2023-02-27
    위원회명

    국문

    성균관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영문

    SKKU Institutes Review Board(IRB)
    위원회주소

    국문

    자연과학캠퍼스 (16419)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 / TEL.031.290.5114

    영문

    NATURAL SCIENCES CAMPUS: (16419) 2066, SEOBU-RO, JANGAN-GU, SUWON-SI, GYEONGGI-DO, KOREA
    위원회 전화번호 031-299-6714
    자료모니터링위원회 아니오(No)
  • 3. 연구자

    연구자정보 - 연구책임자 성명, 직위, 기관명, 연구실무담당자 성명, 직위, 기관명, 등록관리자 성명, 직위, 기관명
    연구책임자
    성명

    국문

    강보영

    영문

    Boyoung Kang
    직위

    국문

    연구책임자

    영문

    Principal Investigator
    전화번호 02-760-0315
    기관명

    국문

    성균관대학교

    영문

    Sungkyunkwan University
    주소

    국문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영문

    25-2, Sungkyunkwan-ro, Jongno-gu
    연구실무담당자
    성명

    국문

    강보영

    영문

    Boyoung Kang
    직위

    국문

    연구책임자

    영문

    Principal Investigator
    전화번호 02-760-0315
    기관명

    국문

    성균관대학교

    영문

    Sungkyunkwan University
    주소

    국문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영문

    25-2, Sungkyunkwan-ro, Jongno-gu
    등록관리자
    성명

    국문

    강보영

    영문

    Boyoung Kang
    직위

    국문

    연구책임자

    영문

    Principal Investigator
    전화번호 02-760-0315
    기관명

    국문

    성균관대학교

    영문

    Sungkyunkwan University
    주소

    국문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영문

    25-2, Sungkyunkwan-ro, Jongno-gu
  • 4. 연구현황

    연구현황 정보 - 연구참여기관, 전체연구모집현황,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목표대상자 수, 자료수집종료일, 연구종료일, 참여기관 기관명, 참여기관 연구모집현황, 참여기관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참여기관 첫 연구대상자 등록여부
    연구참여기관 단일
    전체연구모집현황 연구종결(Completed)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23-02-28 실제등록(Actual)
    목표대상자 수 53 명
    자료수집종료일 2023-06-16 , 실제등록(Actual)
    연구종료일 2023-06-19 , 실제등록(Actual)
    참여기관별 연구진행현황 1
    기관명

    국문

    성균관대학교

    영문

    Sungkyunkwan University
    연구모집현황 연구종결(Completed)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23-02-28 , 실제등록(Actual)
  • 5. 연구비지원기관

    연구비지원기관 정보 - 연구비지원기관 기관명, 기관종류, 연구과제번호
    1. 연구비지원기관
    기관명

    국문

    보건복지부

    영문

    Ministry of Health & Welfare
    기관종류 정부 (Government)
    연구과제번호 HI22C2185
  • 6. 연구책임기관

    연구비지원기관 정보 - 연구책임기관 기관명, 연구책임기관 기관종류
    1. 연구책임기관
    기관명

    국문

    성균관대학교

    영문

    Sungkyunkwan University
    기관종류 대학교 (University)
  • 7. 연구요약

    연구요약 정보
    연구요약

    국문

    목적: 청년 외로움· 우울증 실태 조사 및 디지털 인터벤션의 효과 탐색
    만 18-27세 연령의 성균관대 대학생 60명을 성균관대 포털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모집하여 외로움 및 우울증상에 도움을 주는 앱의 체험 효과를 인터뷰와 설문조사 도구를 이용해 탐색하고 측정한다. 실험에 사용하는 챗봇은 CBT (인지행동 기반 테라피) 이론 기반 자연어처리기술을 이용한 상용서비스로서 Happify(n=20)와 텍스트 기반 대화형 챗봇(Woebot)(n=20), 그리고 '본디(Bondee)', SNS 서비스의 대조군(n=20) 으로서 세 가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무작위 배정(Random Control Trial)한 후 자신이 배정받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사용하도록 한다. 참가자들은 baseline에서 외로움과 우울지수를 측정하고 4주 후(T2), 8주후(생략가능), 12주 후에 웹 기반 UCLA 외로감 지수와 9항목 환자 건강 설문지(PHQ-9)를 측정하고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행한다. 
    
    □ 연구방법 : 질적연구방법 (포커스그룹 인터뷰)+ 양적연구방법(외로움 지수 및 우울증 지수 측정)
       
    - 연구방법개요
        본 연구는 외로움 및 우울 증상을 보유한 청년들 대상 자연어기술 기반 디지털 인터벤션을 통해 체험한 내용과 효과를 포커스 그룹 인터뷰하고 또한 외로움 및 우울 지수의 경감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보다 나은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unmet needs)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학생들은  happify의 경우 최소한 16 activity 수행하고 woebot인 경우 5개의 topic, 1개의 tool(positive action), 2개의   journal/1주에 수행해야 합니다.   4~8주동안의 intervention을 통해 pre & post 외로움, 우울증 지수를 측정해서 비교하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경험을 공유합니다. 
    

    영문

    Objective: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loneliness and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and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interventions
    
    Sixty three Sungkyunkwan University students aged 18-27 will be recruited online through the Sungkyunkwan University portal homepage to explore and measure the effects of using apps designed to alleviate loneliness and depressive symptoms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chatbots used in the experiment are commercial services based on CB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heory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Participants will be randomly assigned (Random Control Trial) to three applications: Happify (n=20), a text-based conversational chatbot (Woebot) (n=20), and a control group using the SNS service 'Bondee' (n=20). Participants will download and use the application they are assigned to. At baseline, participants will measure their loneliness and depression levels, and after 4 weeks (T2), 8 weeks (optional), and 12 weeks, they will complete the web-based UCLA Loneliness Scale and the 9-it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and participate in focus group interviews.
    
    □ Research Method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 +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measurement of loneliness and depression indices)
    
    - Research Method Overview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and effects of natural language technology-based digital interventions on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loneliness and depression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It also measures the reduction in loneliness and depression indices to identify unmet need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Students using Happify must complete at least 16 activities, while those using Woebot must complete 5 topics, 1 tool (positive action), and 2 journals per week. Through the 4-8 week intervention, pre and post loneliness and depression indices will be measured and compared, and experiences will be shar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 8. 연구설계

    연구설계 정보 - 연구종류, 연구목적, 임상시험단계, 중재모형, 눈가림, 눈가림 대상자, 배정, 중재종류, 중재상세설명, 중재군 수, 중재군명, 중재군 목표대상자 수, 중재군 유형, 중재군 상세내용
    연구종류 중재연구(Interventional Study)
    연구목적
    보조적 치료(Supportive Care)
    임상시험단계 해당사항없음(Not applicable)
    중재모형 단일군(Single Group)  
    눈가림 사용안함(Open)
    배정 무작위배정(RCT)
    중재종류 의료기구(Medical Device)  
    중재상세설명

    국문

     본 연구는 외로움 및 우울 증상을 보유한 청년들 대상 자연어기술 기반 디지털 인터벤션을 통해 체험한 내용과 효과를 포커스 그룹 인터뷰하고 또한 외로움 및 우울 지수의 경감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보다 나은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unmet needs)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학생들은  happify의 경우 최소한 16 activity 수행하고 woebot인 경우 5개의 topic, 1개의 tool(positive action), 2개의   journal/1주에 수행해야 합니다.   4~8주동안의 intervention을 통해 pre & post 외로움, 우울증 지수를 측정해서 비교하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경험을 공유합니다. 

    영문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and outcomes of youth with loneliness and depressive symptoms who participated in a digital intervention based on natural language technology. The study aims to identify unmet needs for improvement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measuring the reduction in loneliness and depression indices.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complete at least 16 activities in the Happify app and 5 topics, 1 tool (positive action), and 2 journals per week in the Woebot app. Pre- and post-intervention loneliness and depression scor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over 4-8 weeks, and experiences were shar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중재군 수 1
    중재군 1

    중재군명 국문

    18~27세 성균관대 대학생 및 대학원생

    중재군명 영문

    A total of 63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ged 18-27

    목표대상자 수

    43 명

    중재군유형

    시험군(Experimental)

    상세내용 국문

    우울증상에 도움을 주는 앱의 체험 효과를 인터뷰와 설문조사 도구를 이용해 탐색하고 측정한다. 
    실험에 사용하는 챗봇은 CBT (인지행동 기반 테라피) 이론 기반 자연어처리기술을 이용한 상용서비스로서 Happify(n=21)와  텍스트 기반 대화형 챗봇(Woebot)(n=22)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무작위 배정(Random Control Trial)한 후 자신이 배정받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사용하도록 한다. 참가자들은 baseline에서 외로움과 우울지수를 측정하고 4주 후(T2), 8주후, 12주 후에 웹 기반 UCLA 외로감 지수와 9항목 환자 건강 설문지(PHQ-9)를 측정하고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행한다. 

    상세내용 영문

    The study aims to explore and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apps designed to alleviate depressive symptoms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chatbots used in the experiment are commercial services that utilize CB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heory-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Participants will be randomly assigned (Random Control Trial) to two applications: Happify (n=21) and a text-based conversational chatbot (Woebot) (n=22). Participants will download and use the application they are assigned to. At baseline, participants will measure their loneliness and depression levels, and after 4 weeks (T2), 8 weeks, and 12 weeks, they will complete the web-based UCLA Loneliness Scale and the 9-it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and participate in focus group interviews.
  • 9. 대상자선정기준

    대상자선정기준 정보 - 연구대상 상태/질환, 희귀질환 여부, 대상자 포함기준 성별, 대상자 포함기준 연령, 대상자 포함기준 내용, 대상자 제외기준, 건강인 참여 여부
    연구대상 상태 / 질환

    질환분류

    Not Applicable-Etc 해당사항없음-기타 

    국문

    MeSH Heading(Depression)과 가장 연관이 높으나  우울증보다는 우울증의 전조가 되는 외로움증에 더 초점이 맞춰진 연구라 할 수 있다. 
    

    영문

    The study included university students who had a high association with the MeSH Heading (Depression) but this study can be said to focus more on loneliness, which is a precursor to depression, rather than depression itself.
    희귀질환 여부 아니오(No)
    대상자 포함기준

    성별

    둘다(Both)

    연령

    18세(Year)~27세(Year)

    국문

    18세부터 27세까지 외로움지수(UCLA Loneliness index)가 34이상인 성균관대 대학생 
    피험자 선정기준 
    ① 만 18~27세 성균관대 대학생 혹은 대학원생 
    ② 외로움 지수가 34~40 이상, 우울증 지수(phq9) 6이상 지원자 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허용될 수 있음. 
     
    
    

    영문

    A total of 63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ged 18-27 were initially recruited through the university's portal. Inclusion criteria required participants to have loneliness scores of 34-40 or higher on the UCLA Loneliness Scale and depression scores of 6 or higher on the PHQ-9. 
    대상자 제외기준

    국문

    외로움지수 34 미만 우울증 지수 6 미만인 참여자 (참여자의 수에 따라 약간 조정 가능함) 

    영문

    Participants with UCLA loneliness index below 34 and a depression index below 6 (the numbers can be slightly adjust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participants)
    
    건강인 참여 여부 예(Yes)
  • 10. 결과변수

    결과변수 정보 - 주요결과변수 유형, 주요결과변수 평가항목, 주요결과변수 평가시기, 보조결과변수 평가항목, 보조결과변수 평가시기
    주요결과변수 유형 해당사항 없음(Not applicable)
    주요결과변수 1
    평가항목

    국문

    우울증 지수(PHQ9) 및 외로움 지수(UCLA Loneliness Index)

    영문

    PHQ9, UCLA Loneliness Index
    평가시기

    국문

    4주후, 8주후, 12주후(포스트인터벤션)

    영문

    4 weeks, 8 weeks, 12 weeks(post intervention)
    보조결과변수 1
    평가항목

    국문

    사용성 및 만족도, 이탈율, 자기보고식 정신건강 문해력, 

    영문

    usability, satifsaction, attrition rate, self-reported cohort mental health literacy
    평가시기

    국문

    8주후

    영문

    8 weeks of intervention
  • 11. 연구결과 및 발표

    연구결과 및 발표 정보 - 연구결과 등록유형, 최종 연구대상자 수, 논문게재건수, 논문, 결과 업로드, 연구결과 등록일, 프로토콜 URL 또는 파일 업로드, 결과요약 등
    연구결과 등록유형 예(Yes)
    연구결과 파일 업로드(Results Upload)
    최종 연구대상자 수 27 명
    논문게재건수 0
    결과 업로드 Figues and Tables.docx  
    연구결과 등록일 2024/03/29
    프로토콜 URL 또는 파일 업로드   SKKUIRB.hwp
    결과요약

    국문

    중재 후 외로움과 우울증은 약간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작은 표본 크기로 인한 것으로 보임). Welch의 ANOVA 검정 결과, 중재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UCLA 외로움 척도: P=.5917; PHQ-9: P=.5058). 정성적 데이터에서는 사용자 만족도가 나타났으며, 앱의 효과 및 개인 맞춤화를 개선하기 위한 제안이 있었다.
    
    결론: 연구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잘 설계된 디지털 중재가 대학생들의 외로움과 우울증을 완화하는 데 있어 잠재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는 접근성 높은 디지털 도구, 정신건강 리터러시 교육, 종합적인 지원 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더 큰 표본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Modest decreases in loneliness and depression post-intervention were observed,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ikely due to small sample size). Welch's ANOVA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rvention groups (UCLA Loneliness: P=.5917; PHQ-9: P=.5058). Qualitative data indicated user satisfaction, with suggestions for improved app effectiveness and personalization.
    Conclusions: Despite limitations, the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of well-designed digital interventions in alleviating college students' loneliness and depression.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accessible digital tools, mental health literacy education, and comprehensive support systems. Further research with larger samples is needed.
    
  • 12. 연구데이터 공유(익명화된 연구대상자 데이터)

    연구데이터 공유(익명화된 연구대상자 데이터) 계획
    연구데이터 공유 계획 예(Yes)
    공유예상시기 2024년 5월
    공유방법 요청 시 제공가능
    (bykang2015@gmail.com)(bykang2015@gmail.com)
화면 최상단으로 이동

TOP

BOTTOM

화면 최하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