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정보 국문ㆍEng

지속성 심방세동에서 표준 및 확장된 냉각풍선절제술과 전극도자절제술의 효과에 대한 연구. 다기관, 무작위 배정연구

상태 등록

  • 최초제출일

    2021/01/07

  • 검토/등록일

    2021/02/23

  • 최종갱신일

    2021/01/07

CRIS 필수등록항목입니다.

WHO ICTRP (International Clinical Trial Registry Platform)에서 요구하는 필수등록항목입니다.

  • 1. 연구개요

    연구개요 - CRIS등록번호, 연구고유번호, 요약제목, 연구제목, 연구약어명, 식약처규제연구, IND/IDE Protocol 여부, 타등록시스템 등록여부, 임상연구 요양급여적용 신청 여부
    CRIS등록번호 KCT0005933
    연구고유번호 2020-1896
    요약제목

    국문

    지속성 심방세동에서 표준 및 확장된 냉각풍선절제술과 전극도자절제술의 효과에 대한 연구. 다기관, 무작위 배정연구

    영문

    Comparison of extended cryoballoon ablation, standard cryoballoon ablation, and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in patients with 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연구제목

    국문

    지속성 심방세동에서 표준 및 확장된 냉각풍선절제술과 전극도자절제술의 효과에 대한 연구. 다기관, 무작위 배정연구

    영문

    Comparison of extended cryoballoon ablation, standard cryoballoon ablation, and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in patients with 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연구약어명 CRYO
    식약처규제연구 아니오(No)
    IND/IDE Protocol 여부 아니오(No)
    타등록시스템 등록여부 아니오(No)
    임상연구 요양급여 적용 신청 여부 신청 중(Submitted pending)
  • 2. 임상연구윤리심의

    임상연구윤리심의 - 승인상태, 승인번호, 승인일, 위원회정보, 자료모니터링위원회로 구성된 임상연구윤리심의
    승인상태 제출 후 승인(Submitted approval)
    승인번호 2020-1896
    승인일 2020-12-25
    위원회명

    국문

    서울아산병원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영문

    Asan Medical Center Institutional Review Board
    위원회주소

    국문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영문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위원회 전화번호 02-3010-7166
    자료모니터링위원회 예(Yes)
    위원회명 국문 : 자료안전모니터링위원회
    위원회명 영문 : Data Safety Monitoring Board
  • 3. 연구자

    연구자정보 - 연구책임자 성명, 직위, 기관명, 연구실무담당자 성명, 직위, 기관명, 등록관리자 성명, 직위, 기관명
    연구책임자
    성명

    국문

    남기병

    영문

    Gi byoung Nam
    직위

    국문

    교수

    영문

    MD.PhD
    전화번호 02-3010-3159
    기관명

    국문

    재단법인아산사회복지재단 서울아산병원

    영문

    Asan Medical Center
    주소

    국문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영문

    88, Olympic-Ro 43-Gil,Songpa-Gu,Seoul 05505, Republic pf Korea
    연구실무담당자
    성명

    국문

    조민수

    영문

    Minsoo Cho
    직위

    국문

    교수

    영문

    MD.PhD
    전화번호 02-3010-1327
    기관명

    국문

    재단법인아산사회복지재단 서울아산병원

    영문

    Asan Medical Center
    주소

    국문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영문

    88, Olympic-Ro 43-Gil,Songpa-Gu,Seoul 05505, Republic pf Korea
    등록관리자
    성명

    국문

    조민수

    영문

    Minsoo Cho
    직위

    국문

    교수

    영문

    MD.PhD
    전화번호 02-3010-1327
    기관명

    국문

    재단법인아산사회복지재단 서울아산병원

    영문

    Asan Medical Center
    주소

    국문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영문

    88, Olympic-Ro 43-Gil,Songpa-Gu,Seoul 05505, Republic pf Korea
  • 4. 연구현황

    연구현황 정보 - 연구참여기관, 전체연구모집현황,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목표대상자 수, 자료수집종료일, 연구종료일, 참여기관 기관명, 참여기관 연구모집현황, 참여기관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참여기관 첫 연구대상자 등록여부
    연구참여기관 다기관 기관수 : 2
    전체연구모집현황 대상자 모집 전(Not yet recruiting)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21-03-01 예정(Anticipated)
    목표대상자 수 288 명
    자료수집종료일 2024-01-01 , 예정(Anticipated)
    연구종료일 2024-12-31 , 예정(Anticipated)
    참여기관별 연구진행현황 1
    기관명

    국문

    재단법인아산사회복지재단 서울아산병원

    영문

    Asan Medical Center
    연구모집현황 대상자 모집 전(Not yet recruiting)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21-03-01 , 예정(Anticipated)
    참여기관별 연구진행현황 2
    기관명

    국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영문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연구모집현황 대상자 모집 전(Not yet recruiting)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21-03-01 , 예정(Anticipated)
  • 5. 연구비지원기관

    연구비지원기관 정보 - 연구비지원기관 기관명, 기관종류, 연구과제번호
    1. 연구비지원기관
    기관명

    국문

    재단법인아산사회복지재단 서울아산병원

    영문

    Asan Medical Center
    기관종류 의료기관 (Medical Institute)
    연구과제번호 2020-1896
  • 6. 연구책임기관

    연구비지원기관 정보 - 연구책임기관 기관명, 연구책임기관 기관종류
    1. 연구책임기관
    기관명

    국문

    재단법인아산사회복지재단 서울아산병원

    영문

    Asan Medical Center
    기관종류 의료기관 (Medical Institute)
  • 7. 연구요약

    연구요약 정보
    연구요약

    국문

    지속성 심방 세동 (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PeAF) 치료에 있어 냉각 풍선절제술 (cryoballoon catheter ablation ,CB)은 전극도자절제술 (radiofrequency ablation, RF)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1 발작성 심방세동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PAF) 에서 CB의 유효성 및 안전성은 최근 FIRE and ICE trial에서 잘 증명되었다. 2 시술시간이 짧고, 연속적인 병변을 만들 수 있으며, 쉽게 배울 수 있다는 점 등이 RF에 비해 CB가 가지는 장점이다. 2-4 그러나 이러한 CB의 유효성과 안전성은 PAF만 국한되어 있으며 PeAF 에 대한 결과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않다. 
    PeAF는 PAF와는 병태생리적인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PAF는 대부분 폐정맥 (pulmonary vein, PV) 에서 나오는 유발점(trigger)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에 PeAF는 좌심방의 광범위한 재형성 (remodelling) 되면서 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국소적 또는 회귀적 (reentrant) 기전들에 의해 부정맥이 유지된다.5 그래서 PV를 주 타겟으로 하는 CB는 PeAF에서는 제한적인 효과만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STAR-AF II trial 에서는 PV isolation에 더한 추가적인 선형절제술(linear ablation)이나 복잡전기신호 (CFAE, complex fractionated electrogram ablation) 절제술은 심방세동 절제술 후 예후를 향상시키지 못했다.6 이 연구는 심방세동에서 PV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킴과 함께CB를 통한 PV isolation 이 PeAF에서도 효과가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최근에는 광범위한 폐정맥 주위 절제술 (wide antral ablation)이나 심방 후벽 절제술 (posterior wall isolation) 등의 확장된 CB 시술 (CB+) 등이 PeAF에서 좋은 효과를 보인다는 보고들이 알려지고 있다.7-9 따라서 PeAF에서 CB 또는 CB+ 에 대한 시도가 대규모 센터들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PeAF에서 CB또는 CB+와 RF에 대한 무작위 배정 시험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Cryoballon Versus Radiofrequency Ablation for 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IRON-ICE, NCT03365700, and FIRE and ICE 2 trial pilot, NCT03706677). 8-10 현재까지의 후향적 데이터들을 보면 PeAF 환자에서 표준치료인 RF에 비교한 CB 또는 CB+ 치료는 RF에 비해 더 좋은 결과를 보인다는 후향적 연구 결과들이 충분히 존재하고 있다. 특히 CB+는 CB에 비해서도 더 우월한 결과를 보일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CB 및 CB+ 시술 방법은 RF 연구들에 비해 훨씬 안전하고 빠른 시술이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한 치료방법이 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이렇게 PeAF에서 CB+가 CB 또는 RF에 비교한 효과를 알기 위해서는 세 군을 모두 포함하는 무작위 배정연구가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서 CB+가 RF에 대한 우월성을 증명함과 동시에 Cryoballoon를 이용한 시술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시술 범위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까지 세가지 치료법을 동시에 비교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CB+ 가 CB 또는 RF 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기획하였다.

    영문

    The cryoballoon catheter ablation (CB) for atrial fibrillation (AF) has evolved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and has become a reasonable alternative to radiofrequency (RF) pulmonary vein isolation (PVI).1 The efficacy of CB procedure in paroxysmal AF has been proven in the recent FIRE and ICE trial, where CB was non-inferior to RF ablation with respect to efficacy on AF free survival, but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afety.2 Shorter procedure/fluoroscopy time for contiguous transmural lesion, shorter learning curve, and higher quality of life would be major benefits of CB over RF ablation.2-4 However, this efficacy and safety of CB procedure has been proven only in patients with paroxysmal AF, and the role of CB in persistent AF remains largely unknown. 
    Persistent AF has been known to b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paroxysmal AF.  Paroxysmal AF occurs primarily from the PV triggers while persistent AF is perpetuated by focal/reentrant mechanism in the process of atrial structural remodeling.5 Therefore, application of CB, due to its main effect on the PVs, has been regarded to provide only a limited effect in patients with persistent AF . However, the STAR-AF II trial demonstrated that substrate modification in addition to PVI either via linear ablation or via complex fractionated electrogram ablation do not result in reduction of AF recurrences in patients with persistent AF.6 This landmark study has provided a renewed insight into the role of PV in AF, and possible clinical application of CB in persistent AF patients. Furthermore, improved outcomes with extended CB procedures (CB plus) such as wide antral ablation, posterior wall isolation, or roof/perimitral linear lesionss have also suggested that CB could be applied in substrate modification in more advanced forms of AF.7-9 The use of CB in patients with persistent AF is rapidly growing in the current electrophysiology practice, and the new concept of extended CB ablation (CB plus) is being actively tested in selected large volume centers. In spite of the widespread use of CB, a direct comparison of RF vs CB in persistent AF in a prospective randomized way has been performed in one published10 and two ongoing studies (Cryoballon Versus Radiofrequency Ablation for 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IRON-ICE, NCT03365700, and FIRE and ICE 2 trial pilot, NCT03706677). Comparison of CB vs CB plus has been performed in only two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ies.8, 9 The review of previous observational data showed that CB or CB plus are potentially associated with better effectiveness than RF. Especially CB plus could be a better treatment option than CB in terms of prevention of recurrent AF/AFL. Besides, considering general advantage of CB or CB plus such as shorter procedure time and higher safety, CB+ could be a better treatment option than traditional RF. To better understand the role of CB in the management of persistent AF, and to measure the additional effect of extended CB ablation as opposed to CB alone, a trial comparing all the three arms is necessary. From this trial we could demonstrate the higher efficacy of CB plus compared to RF and optimal extent of CB ablation in persistent AF.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clinical trials that directly compar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e three treatment options (RFCA, CB, and CB plus) at the same time have not been reported. In the current study, we hypothesized that the CB plus procedure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CB or RF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persistent AF.
  • 8. 연구설계

    연구설계 정보 - 연구종류, 연구목적, 임상시험단계, 중재모형, 눈가림, 눈가림 대상자, 배정, 중재종류, 중재상세설명, 중재군 수, 중재군명, 중재군 목표대상자 수, 중재군 유형, 중재군 상세내용
    연구종류 중재연구(Interventional Study)
    연구목적
    치료(Treatment)
    임상시험단계 해당사항없음(Not applicable)
    중재모형 평행설계(Parallel)  
    눈가림 사용안함(Open)
    배정 무작위배정(RCT)
    중재종류 시술/수술(Procedure/Surgery)  
    중재상세설명

    국문

    - 무작위 배정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랜덤화 도구를 사용하여 365일 24시간 가능할 것이다. 
    - 기본적으로 시술은 Trans-septal approach를 통해 좌심방 내에서 이루어진다. 
    - Transseptal access 전후 헤파린을 사용하여 ACT 값이 300 이상 되도록 한다. 
    - 시술전 CT 영상이 모든 환자에서 시행될 것이다. 
    - 모든 환자들에서 절제술 시행후 PV potential 들을 체크하여 Entrance and exit blockd르 확인할 것이다. 
    - 모든 경우 PV isolation이 표준 치료 로서 시행될 것이다. RF 군에서 추가적인 선형 절제술이나 CFAE 절제술 또는 CB 군에서 좌심방 후벽 절제술 시행은 반복적인 심방 빈맥이나 심방세동이 발생하지 않는 한 최대한 지양하고 PV isolation만 시행하도록 할 것이다. 
    - CB+ 군에서는 좌심방 천자아에 대한 선형절제술 또는 좌심방 후벽 절제술이 시행되어야 한다 
    - 모든 군에서 우심방 협부에서 발생하는 전형적 심방조동 (Cavo-tricuspid isthmus dependent flutter) 발생시에는 추가적인 RF 카테터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 위의 시술 들에도 심방성 부정맥이 지속될 경우 직류 동율동 전환술을 시행한다. 
    - 시술 후에는 Inducibility test가 시행될 수 있으며 이때는 isoproterenol (up to 10 mcg/min) 과 rapid atrial pacing (up to 180ms or atrial ERP) 을 이용하여 PV 외부의 유발점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심방세동 발생 가능성을 알아본다.18-21 Inducibility 펴가는 환자 컨디션이나 시술 의사의 판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1분이상 지속되는 심방성 빈맥이 있을 경우 유발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  PV 외부의 유발점이 isoproterenol 사용 중 반복적으로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영문

    - Randomization is carried out through an internet-based randomization system, available 24 hours per day, 7 days per week, 365 days per year
    - All procedures will be performed via transseptal access to the Left Atrium (LA)
    - After transseptal access, patients should be anticoagulated with intravenous heparin to maintain an ACT of > 300 sec
    - Pre-ablation CT should be performed in all patients 
    - In all patients pre and post pulmonary vein potentials should be recorded to confirm the isolation of pulmonary vein, with verification of entrance or exit block. 
    -With any techniques, PV isolation should be performed as the gold standard. Additional line ablation or complex atrial fractionated electrogram (CAFÉ) ablation in RFCA group or posterior wall isolation in CB group can be done by the physician’s discretion, but strongly discouraged unless incessant LA tachycardia or recurrent IRAF is documented. 
    - In CB plus group roof line ablation or posterior isolation should be performed. 
    - Cavo-tricuspid isthmus ablation using irrigated radiofrequency catheter can be performed in all groups when CTI-dependent AFL was documented or induced. 
    - If the patient is in atrial arrhythmia after completion of study procedure, sinus rhythm should be restored with DCCV by protocol
    - inducibility test will be performed using isoproterenol (up to 10 mcg/min) with or without rapid atrial pacing (up to 180ms) to reveal the non-PV trigger as well as to assess the post-ablation AF inducibility. 19-22 The protocol for the inducibility testing may change depending upon the patient’s condition or attending physician’s decision,and should be recorded in the CRF. AF will be considered inducible if it persists for ≥1 minutes
    - Ablation of non-PV trigger will be allowed if the repetitive triggers are noted during isoproterenol infusion.
    중재군 수 3
    중재군 1

    중재군명 국문

    RF군

    중재군명 영문

    RF ablation arm

    목표대상자 수

    96 명

    중재군유형

    기타(Others)

    상세내용 국문

    	절제술의 구체적인 방법, 사용 카테터의 종류, 소프트웨어 및 모듈 사용 등은 다음의 시술 방법들을 추천하지만시술하는 의사의 판단에 따른다. 선형절제술이나 CFAE 절제술 등은 가능한 피하도록 한다. 
    	CARTO system (Biosense-Webster, USA) 을 사용할 경우: Ablation index (AI) 를 이용한 CLOSE protocol 방법을 사용하도록 하며 구체적 세팅은 다음과 같다.22 
    Navistar Smart-touch surround-flow catheter; 25-40 watts of energy; 40 seconds time limit; 10-30 gram of contact force; 40 seconds of time limit; targeting AI value of 550 in anterior wall and 400 in the posterior wall; interlesion distance ≤6mm; using automatic lesion annotation (Visitag™) – type 3 tagging, 3mm stability for 5 seconds, force >5g over 50% of time; target AI value could be reduced (450 in anterior wall and 350 in posterior wall) according to the participating center’s policy.23-25 
    	Ensite NavX system (Abott, USA) 을 사용할 경우 아래와 같은 세팅으로 시술을 시행한다. 
    TactiCath™ Quartz ablation catheter; delivering 25-35 watts of energy; 540 seconds time limit; 10-30 gram of contact force; using automatic lesion annotation (Automark Module), target lesion index value of 5-5.5 in the posterior wall and 5.5-6 in the anterior wall.

    상세내용 영문

    	The method of ablation, use of contact-force sensing catheter or automatic tagging modules will be directed by the participating center’s policy or physician’s discretion. Following ablation strategies are recommended for all participants. Linear ablation or CFAE ablations are strongly discouraged by the protocol   
    	When CARTO system (Biosense-Webster, USA) was used: AI guided ablation akin to the “CLOSE protocol” is recommended.23 Using Navistar Smart-touch surround-flow catheter; delivering 25-40 watts of energy; 40 seconds time limit; 10-30 gram of contact force; 40 seconds of time limit; targeting AI value of 550 in anterior wall and 400 in the posterior wall; interlesion distance ≤6mm; using automatic lesion annotation (Visitag™) – type 3 tagging, 3mm stability for 5 seconds, force >5g over 50% of time; target AI value could be reduced (450 in anterior wall and 350 in posterior wall) according to the participating center’s policy.24-26 
    	When Ensite NavX system (Abott, USA) was used: Using TactiCath™ Quartz ablation catheter; delivering 25-35 watts of energy; 540 seconds time limit; 10-30 gram of contact force; using automatic lesion annotation (Automark Module), target lesion index value of 5-5.5 in the posterior wall and 5.5-6 in the anterior wall.
    중재군 2

    중재군명 국문

    CB 군

    중재군명 영문

    CB ablation arm

    목표대상자 수

    96 명

    중재군유형

    기타(Others)

    상세내용 국문

    	구체적인 시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권하지만 시술자의 판단에 따른다. 26 추가적인 선형 절제술이나 후벽 절제술은 피하도록 한다. 
    	Time to isolation (TTI)이 60초 이하일 경우 TTI + 2분 동안의 단일 냉동절제술을 시행한다. TTI가 60이 넘거나 PV potential이 보이지 않을 경우 3분 간의 기본 절제술 후 2분간의 보너스 절제술을 사용한다. 영하 40도를 달성하지 못하거나 TTI가 90초 이상일 경우에는 냉각술을 중단하고 Balloon reposition을 고려한다. PV가 확실히 막히기 힘든 구조일 경우 Segmental ablation이 허용된다. 오른쪽 PV 절제동안은 지속적으로 호흡근육을 자극하여 손상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만약 호흡근육이 약해질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시술을 멈춘다. PV 절제술이 끝까지 힘들 경우 RF 를 이용한 선택적인 추가 절제술도 시행될 수 있다

    상세내용 영문

    	The method of ablation, size of balloon, freezing time, and booster freezing will be made upon the participating center’s policy or physician’s discretion. Following ablation strategies are highly recommended for all participants. 27 Additional Linear ablation or CFAE ablations are strongly discouraged by the protocol
    	Application of TTI + 2 minutes or 180 seconds single-freezing is recommended when time-to-isolation (TTI) <60 seconds. Additional 120 seconds of booster-freezing after TTI + 2 or 180 seconds initial freezing is recommended when TTI value >60 seconds, or PV potentials were not discernable in the Achieve multipolar catheter. If temperatures below <-40 ‘C cannot be achieved due to improper occlusion or TTI > 90 seconds, freezing should be discontinued and reposition of balloon is recommended. Segmental ablation is allowed when the proper occlusion of PV by balloon cannot be achieved. Continuous phrenic capture should be monitoring during procedure in the right PVs to avoid phrenic nerve injury. Stop ablation immediately if phrenic nerve damage is suspected. No further ablation would be performed when the phrenic nerve damage is suspected. Touch-up ablation using irrigated radiofrequency ablation catheter would be permitted with conventional mapping method.
    중재군 3

    중재군명 국문

    CB+ 군

    중재군명 영문

    CB plus arm

    목표대상자 수

    96 명

    중재군유형

    기타(Others)

    상세내용 국문

    	구체적인 시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권하지만 시술자의 판단에 따른다.26 
    	PV isolation에 더해서 추가적인 추가적인 선형 절제술이나 후벽 절제술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	각 포인트 마다 120초에서 180초의 에너지를 가하여 심장 후벽이 최대한 절제가 되도록 해야 한다. 후벽의 완벽한 절제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심방세동의 기질이 될 수 있는 후벽의 전기적 활성을 최대한 줄이도록 (debulking) 시술 하도록 권고 한다. CB 적응 시간과 횟수가 모두 기록 되어야 한다. 
    	시술 후 심장 후벽이 충분히 절제가 되었는지는 아래의 세 방법 중 한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심장 후벽 절제가 확인되는 방법이 case report form에 기술 되어야 한다. 
    	심장 후벽을 카테터로 자극 하여 entrance and exit block 을 확인한다. 
    	절재면 하방에서 differential pacing을 하여 좌심방 천정부위가 양방향 절제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	3차원 매핑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 electrical activity 가 사라졌는지 (<0.1mV)의 여부를 확인한다

    상세내용 영문

    	The method of ablation, size of balloon, freezing time, and booster freezing will be decided by the participating center’s policy or physician’s discretion. Ablation strategies described above are highly recommended for all participants. 27 
    	Additional posterior wall isolation should be performed by single 120 to 180 second cryo application delivered at each site. 
    	Utmost debulking of posterior wall should be attempted although complete posterior wall isolation may not be successful, as we considered that a large scare created by the CB application would provide sufficient anti-arrhythmic effects in terms of suppressing AF. The number and duration of cryo application should be recorded in the case report form.  
    	Successful posterior wall isol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one of the following methods. The method and achievement of posterior wall isolation should be recorded in the case report form.
    	Entrance and Exit block of posterior wall with high-voltage pacing from achieve catheter or
    	Bidirectional block of roof line by differential pacing or
    	Reduction of the electrical activity (<0.1mV) in the left atrial posterior wall in the 3D-mapping system
  • 9. 대상자선정기준

    대상자선정기준 정보 - 연구대상 상태/질환, 희귀질환 여부, 대상자 포함기준 성별, 대상자 포함기준 연령, 대상자 포함기준 내용, 대상자 제외기준, 건강인 참여 여부
    연구대상 상태 / 질환

    질환분류

    (I00-I99)Diseases of the circulatory system (I00-I99)순환계통의 질환
    (I48.1)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I48.1)지속성 심방세동 

    국문

    지속성 심방세동

    영문

    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희귀질환 여부 아니오(No)
    대상자 포함기준

    성별

    둘다(Both)

    연령

    18세(Year)~80세(Year)

    국문

    - 18-80세 
    AND
    - 7일 이상 지속되는 지속성 심방세동 
    AND
    - 1가지 이상의 class I or III antriarrhytmic drug 에 저항성 혹은 부작용 	
    AND
    - 연구에 사전 동의한 환자

    영문

    - Patients with age between 18-80 years
    AND
    - Patients with persistent (≥7 days) AF documented on 12-lead ECG or Holter monitoring. 
    AND
    - AF refractory/intolerant to class I or III antriarrhytmic drug	
    AND
    - Able and willing to provide written informed consent to CRYO or RFCA and participation in this investigation
    대상자 제외기준

    국문

    연구 참여를 거부한 환자 
    - 18세 미만 또는 80세 초과 환자 
    - 7일 미만 지속되는 발작성 심방세동 s
    - 승모판 협착증 혹은 기계 인공 판막 
    - 좌심방의 전후 직경 55mm 이상
    - CT 상 관찰되는 폐정맥이 해부학적으로 시술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 임산부 혹은 수유부 
    - 심방 중격 결손 혹은 patent foramen ovale로 인해 closing device가 체내에 있는 경우 
    - 심방 내 혈전 
    - 항응고 치료 금기증 
    - NYHA IV 상태의 심부전 
    - 과거 심방 세동 절제술 혹은 MAZE 수술 
    - 급성 관동맥 증후군 3개월 이내 
    - 최근 3개월 이내 개흉 수술 
    - 향후 3개월 이내 개흉 수술이 예정된 경우 
    - 말기 심부전 혹은 중증 심부전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MDRD method] < 30mL/min/1.73m)
    - 기대 여명이 1년 이내인 환자

    영문

    - Patients refusing participation in the registry
    - Age< 18 years old or > 80 years old
    - Paroxysmal AF which lasting < 7 days
    - Mitral stenosis or mechanical prosthetic valve
    - Patients with left atrial size ≥ 55 mm (2D echocardiography, Anterior-posterior diameter in parasternal long axis view)
    - Anatomy of pulmonary vein was not suitable for CB or CB+, including common ostium or ostium size > 26mm
    - Pregnant woman of child-bearing age with a positive pregnancy test before treatment
    - Presence of atrial septal defect or patent foramen ovale closure device
    - Presence of intracardiac thrombus
    - Contraindications to the systemic anticoagulation
    - NYHA functional class IV heart failure
    - Prior catheter or surgical ablation of AF
    - Acute coronary syndrome within 3 months
    - Planned open heart surgery within 3 months
    - Prior open-heart surgery within 3 months
    - End stage renal disease or chronic kidney diseas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MDRD method] < 30mL/min/1.73m)
    - Life expectancy less than 1 year
    건강인 참여 여부 아니오(No)
  • 10. 결과변수

    결과변수 정보 - 주요결과변수 유형, 주요결과변수 평가항목, 주요결과변수 평가시기, 보조결과변수 평가항목, 보조결과변수 평가시기
    주요결과변수 유형 유효성(Efficacy)
    주요결과변수 1
    평가항목

    국문

    본 연구의 일차 평가 변수는 첫 시술 후 3개월간의 blanking period 이후에 약제를 중단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30 초 이상 지속되는 심방성 부정맥(Atrial tachyarrhythmia, 심방세동, 심방조동, 심방 빈맥을 포함함)의 발생율이다.

    영문

    Freedom from documented atrial arrhythmia episodes lasting > 30 seconds without antiarrhythmics medications (after 3 months of blanking period)
    평가시기

    국문

    시술 후 3개월

    영문

    3 months after index procedure
    보조결과변수 1
    평가항목

    국문

    - 약제 사용 유무에 상관없이 첫번째 혹은 두번째 시술 후 3개월간의 blanking period 이내에 발생하는 30 초 이상 지속되는 심방성 부정맥 -	약제 사용 유무에 상관없이 첫번째 혹은 두번째 시술 후 3개월간의 blanking period 이후에 발생하는 30 초 이상 지속되는 심방성 부정맥  -	약제 사용 유무에 상관없이 첫번째 혹은 두번째 시술 후 3개월간의 blanking period 이후에 발생하는 30 초 이상 지속되는 심방 세동 -	시술 전후의 합병증 (뇌경색, 심낭압전, 식도 손상, 호흡근 손상, 사망) -	First-pass isolation 또는 First-freeze isolation의 비율 (%)  -	시술 시간 (분) -	절제술 시간 (분) -	방사선 시간 (분) -	좌심방 내 체류 시간 (분) -	기저 및 12개월째 삶의 질 설문지  -	재시술의 횟수  -	3개월 및 12개월째 2주간의 패치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되는 심방세동의 빈도  -	시술 전과 후의 좌심방 압력 (mmHg)

    영문

    -	Atrial arrhythmia recurrence during blanking period (3 months) after one or two procedures with/without antiarrhythmic medications -	Atrial tachycardia or flutter recurrence during long-term follow-up ) after one or two procedures with/without antiarrhythmic medications -	Atrial fibrillation recurrence during long-term follow-up) after one or two procedures with/without antiarrhythmic medications -	Incidence of peri-procedural complications (including stroke, cardiac tamponade, esophageal injury, phrenic nerve damage, and death)  -	Rate of first-pass isolation or first-freeze isolation (%) -	Procedure duration (minutes) -	Ablation time (minutes) -	Fluoroscopy time (minutes) -	Procedure time (minutes, skin to skin) -	LA dwelling time  -	Ablation time (seconds) -	Quality of life changes at 12 months compared to baseline  -	Number of repeat procedures -	AF burden at 12 months after ablation assessed by 2-week patch monitoring -	LA pressure, mmHg (max/min/mean) after septal puncture and after procedure  -	Role of 2-week patch electrode in the detection of post-procedure atrial tachyarrhythmia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Holter monitoring
    평가시기

    국문

    시술 후 3개월 및 12개월

    영문

    3 and 12 months after index procedure
  • 11. 연구결과 및 발표

    연구결과 및 발표 정보 - 연구결과 등록유형, 최종 연구대상자 수, 논문게재건수, 논문, 결과 업로드, 연구결과 등록일, 프로토콜 URL 또는 파일 업로드, 결과요약 등
    연구결과 등록유형 아니오(No)
  • 12. 연구데이터 공유(익명화된 연구대상자 데이터)

    연구데이터 공유(익명화된 연구대상자 데이터) 계획
    연구데이터 공유 계획 아니오(No)
화면 최상단으로 이동

TOP

BOTTOM

화면 최하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