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정보 국문

신경근차단이 위상지연엔트로피와 바이스펙트럼지수에 미치는 영향

상태 등록

  • 최초제출일

    2017/07/28

  • 검토/등록일

    2019/04/12

  • 최종갱신일

    2019/04/02

CRIS 필수등록항목입니다.

WHO ICTRP (International Clinical Trial Registry Platform)에서 요구하는 필수등록항목입니다.

  • 1. 연구개요

    연구개요 - CRIS등록번호, 연구고유번호, 요약제목, 연구제목, 연구약어명, 식약처규제연구, IND/IDE Protocol 여부, 타등록시스템 등록여부, 임상연구 요양급여적용 신청 여부
    CRIS등록번호 KCT0003750
    연구고유번호 EUMC 2017-05-072-001
    요약제목 신경근차단이 위상지연엔트로피와 바이스펙트럼지수에 미치는 영향
    연구제목 신경근차단이 위상지연엔트로피와 바이스펙트럼지수에 미치는 영향
    연구약어명
    식약처규제연구 아니오(No)
    IND/IDE Protocol 여부 아니오(No)
    타등록시스템 등록여부 아니오(No)
    임상연구 요양급여 적용 신청 여부 해당연구 아님(Not applicable)
  • 2. 임상연구윤리심의

    임상연구윤리심의 - 승인상태, 승인번호, 승인일, 위원회정보, 자료모니터링위원회로 구성된 임상연구윤리심의
    승인상태 제출 후 승인(Submitted approval)
    승인번호 EUMC 2017-05-072-001
    승인일 2017-07-03
    위원회명 이대목동병원 기관윤리심의위원회
    위원회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1071 이대목동병원 의학관 A동 918호
    위원회 전화번호 02-2650-2019
    자료모니터링위원회 아니오(No)
  • 3. 연구자

    연구자정보 - 연구책임자 성명, 직위, 기관명, 연구실무담당자 성명, 직위, 기관명, 등록관리자 성명, 직위, 기관명
    연구책임자
    성명 백희정
    직위 교수
    전화번호 02-2650-5285
    기관명 이화여자대학교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연구실무담당자
    성명 진소희
    직위 레지던트
    전화번호 02-2650-5285
    기관명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목동병원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1071,
    등록관리자
    성명 진소희
    직위 레지던트
    전화번호 02-2650-5285
    기관명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목동병원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1071
  • 4. 연구현황

    연구현황 정보 - 연구참여기관, 전체연구모집현황,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목표대상자 수, 자료수집종료일, 연구종료일, 참여기관 기관명, 참여기관 연구모집현황, 참여기관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참여기관 첫 연구대상자 등록여부
    연구참여기관 단일
    전체연구모집현황 연구종결(Completed)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17-07-14 실제등록(Actual)
    목표대상자 수 40 명
    자료수집종료일 2017-10-31 , 실제등록(Actual)
    연구종료일 2018-12-31 , 실제등록(Actual)
    참여기관별 연구진행현황 1
    기관명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목동병원
    연구모집현황 연구종결(Completed)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17-07-14 , 실제등록(Actual)
  • 5. 연구비지원기관

    연구비지원기관 정보 - 연구비지원기관 기관명, 기관종류, 연구과제번호
    1. 연구비지원기관
    기관명 (주)인바디
    기관종류 기타 (Others)
    연구과제번호
  • 6. 연구책임기관

    연구비지원기관 정보 - 연구책임기관 기관명, 연구책임기관 기관종류
    1. 연구책임기관
    기관명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목동병원
    기관종류 의료기관 (Medical Institute)
  • 7. 연구요약

    연구요약 정보
    연구요약
     진정이나 마취를 시행할 때 환자의 수면심도를 측정하는 다양한 종류의 감시 장치가 개발되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바이스펙트럼지수(bispectral Index, BIS)는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의 바이스펙트럼분석을 이용하여 세 가지 하부모수인 Burst suppression ratio, Beta ratio, SyncFastSlow로부터 계산된 마취제에 의한 진정 수면 효과를 0에서 100사이의 수치로 제공한다. 그러나 신경근차단제 투여는 BIS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연구에서 얕은 진정 상태(BIS 60이상)에서는 신경근차단제가 BIS를 감소시키는 반면, 깊은 마취 상태(BIS 40- 60미만)에서는 BIS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보고하고 있어 특히 마취심도가 얕은 진정상태에서는 BIS 수치를 읽을 때 신경근차단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신경근차단제에 의해 BIS가 변화하는 원인으로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하나는 근전도(electromyography, EMG) 활성도에 의한 BIS 내 방해 효과이고, 다른 하나는 근육의 신장수용체(stretch receptor)가 뇌의 각성중추를 자극하여 각성효과를 나타낸다는 구심성 이론(afferentation theiory)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최근 새로 개발된 위상지연엔트로피(phase lag entropy, PLE)를 보여주는 PLEM은 단일채널 뇌파신호의 분석에 의존하여 뇌 영역간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기존의 장비들과는 달리, 전전두엽과 전두엽의 다채널 뇌파신호에서 위상관계 패턴을 추출한 후 정보 엔트로피를 계산하여 뇌 영역 간 커뮤니케이션의 복잡성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진정, 마취 심도 장비이다. PLE는 세 가지 하부변수인 PLE1, PLE2, BSR(burst suppression ratio)에 적절한 가중치를 두어 계산되는데 이 중에서 PLE2의 주파수대역이 0.1-1 Hz, 32-45 Hz로 30 Hz 이상의 EMG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지만, EMG 주파수 대역의 파워 값을 계산하는 베타 비를 하부 변수로 채택하는 BIS와는 달리 PLE는 파워 값을 계산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위상지연엔트로피는 신경근차단제에 의한 근전도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신경근차단이 PLE에 미치는 영향을 BIS와 비교하고자 한다. 마취 유도 시 얕은 진정 상태(BIS 60-80)에서 신경근차단제 투여 후 BIS와 PLE의 변화를 측정하여 위약투여 군과 비교하며, 수술 종료 직후 마취 상태(BIS 40-55)에서 신경근차단 역전 시 변화가 있는지 비교하여 마취 심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 8. 연구설계

    연구설계 정보
    연구종류 관찰연구(Observational Study)
    관찰연구모형 Case-control
    연구관점 전향적(Prospective)  
    목표대상자 수 40명
    관찰군 수 4
    관찰군 1

    관찰군명

    마취유도시 신경근차단제 투여군

    상세내용

    Propofol-remifentanil 목표농도조절주입법으로, Schneider와 Minto의 약동학적 모형을 사용한다. Glycopyrrolate 0.02mg/kg 투여 후 Remifentanil의 목표효과처농도를 2 ng/ml로 시작한다. Propofol의 목표효과처농도를 2㎍/ml로 시작하여 의식이 소실 될 때까지 0.5㎍/ml씩 증량한다. 의식 소실은 눈을 떠보라는 구두명령에 반응이 없는 경우로 한다. 의식소실이 일어난 때의 propofol 효과처농도를 3분 간 유지하면서 1분 간격으로 BIS, EMG on BIS, PLE, EMG on PLE, BSR(Burst suppression ratio), 사연속자극(train of four, TOF), 혈압, 심박수를 측정한 후 rocuronium 0.6 mg/kg(R군)을 정주한다. 호기말 이산화탄소분압을 35-45 mmHg로 유지하도록 100% 산소로 보조 환기를 시행하며 신경근차단제 투여 4분 후까지 1분 간격으로 모든 측정치를 기록한다. 이후 remifentanil의 목표효과처농도를 4 ng/ml로 증가시키고 BIS 40-55를 유지하도록 propofol의 목표효과처농도를 증가시킨 후 R군은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하고 1분 30초 후 기관내삽관을 하고 수술을 위한 통상적인 마취유지 방법을 제공한다.
    관찰군 2

    관찰군명

    마취유도시 대조군

    상세내용

    Propofol-remifentanil 목표농도조절주입법으로, Schneider와 Minto의 약동학적 모형을 사용한다. Glycopyrrolate 0.02mg/kg 투여 후 Remifentanil의 목표효과처농도를 2 ng/ml로 시작한다. Propofol의 목표효과처농도를 2㎍/ml로 시작하여 의식이 소실 될 때까지 0.5㎍/ml씩 증량한다. 의식 소실은 눈을 떠보라는 구두명령에 반응이 없는 경우로 한다. 의식소실이 일어난 때의 propofol 효과처농도를 3분 간 유지하면서 1분 간격으로 BIS, EMG on BIS, PLE, EMG on PLE, BSR(Burst suppression ratio), 사연속자극(train of four, TOF), 혈압, 심박수를 측정한 후 rocuronium 0.6 mg / kg 과 동량의 생리식염수(C군)를 정주한다. 호기말 이산화탄소분압을 35-45 mmHg로 유지하도록 100% 산소로 보조 환기를 시행하며 신경근차단제 투여 4분 후까지 1분 간격으로 모든 측정치를 기록한다. 이후 remifentanil의 목표효과처농도를 4 ng/ml로 증가시키고 BIS 40-55를 유지하도록 propofol의 목표효과처농도를 증가시킨 후 rocuronium 0.6 mg / kg을 투여하고 1분 30초 후 기관내삽관을 하고 수술을 위한 통상적인 마취유지 방법을 제공한다.
    관찰군 3

    관찰군명

    신경근차단역전 시 슈가마덱스군

    상세내용

    수술이 종료된 후, 신경근차단을 역전시키는 단계에서 깊은 최면 상태, 즉 BIS 40 ~ 55 미만을 유지하면서(이 때 remifentanil의 효과처농도는 2 ng/ml로 유지함) TOF count상 3개 이상의 반응이 나타날 때 sugammadex 2mg/kg(S군)를 투여하고, 약물 투여전과 투여 후 4분까지 1분 간격으로 모든 측정치를 기록한다. 이로써 연구는 종료하고 마취제 주입을 종료한 후 마취에서 각성시킨다. 
    관찰군 4

    관찰군명

    신경근차단역전 시 대조군

    상세내용

    수술이 종료된 후, 신경근차단을 역전시키는 단계에서 깊은 최면 상태, 즉 BIS 40 ~ 55 미만을 유지하면서(이 때 remifentanil의 효과처농도는 2 ng/ml로 유지함) TOF count상 3개 이상의 반응이 나타날 때 sugammadex 2mg/kg와 동량의 생리식염수(D군)를 투여하고, 약물 투여전과 투여 후 4분까지 1분 간격으로 모든 측정치를 기록한다. 이로써 연구는 종료하고 마취제 주입을 종료한 후 마취에서 각성시킨다. 단,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군은 신경근차단 역전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glycopyrrolate와 pyridostigmine을 투여한다.
    생물자원 저장 저장안함(Not collect nor Archive)
    생물자원 종류
    
    													
  • 9. 대상자선정기준

    대상자선정기준 정보 - 연구대상 상태/질환, 희귀질환 여부, 대상자 포함기준 성별, 대상자 포함기준 연령, 대상자 포함기준 내용, 대상자 제외기준, 건강인 참여 여부
    연구모집단설명
    이대목동병원에서 전신마취 하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수술이 예정된 미국마취과학괴신체등급 1 또는 2에 해당하는 19- 60세의 성인 환자
    대상자추출방법
    제3자에 의해 만들어진 난수표에 의해 무작위 배정되어 얕은 진정 상태에서의 연구 시의 두 군과, 깊은 진정 상태에서의 연구 시 두 군으로 나눈다.
    연구대상 상태 / 질환

    질환분류

    (V01-Y98)External caus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V01-Y98)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
    (Y55.1)Skeletal muscle relaxants [neuromuscular blocking agents]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Y55.1)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골격근이완제[신경근육차단제] 
    전신마취하 진행되는 모든 수술
    희귀질환 여부 아니오(No)
    대상자 포함기준

    성별

    둘다(Both)

    연령

    19세(Year)~60세(Year)
    전신마취 하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수술이 예정된 환자. 미국마취과학회 신체등급 분류 1, 2급에 해당되는 19 - 60세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한다.
    대상자 제외기준
    심장, 간, 신장, 중추 신경계 질환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나 진정제, 항우울제, 수면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 임산부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한다.
    건강인 참여 여부 아니오(No)
  • 10. 결과변수

    결과변수 정보 - 주요결과변수 유형, 주요결과변수 평가항목, 주요결과변수 평가시기, 보조결과변수 평가항목, 보조결과변수 평가시기
    주요결과변수 유형 유효성(Efficacy)
    주요결과변수 1
    평가항목
    얕은 진정 하 BIS와 PLE의 변화치
    평가시기
    T base: 입실 시, T eye: 눈 감았을 때, T remi: 레미펜타닐 시작, Tppf: 프로포폴 시작, T0: 의식소실, T1: 의식소실 후 1분, T2: 의식소실 후 2분, T3: 의식소실 후 3분, TR0: 각 군 근이완제 또는 위약 투여, TR1: 약 투여 1분후, TR2: 약 투여 2분후, TR3: 약 투여 3분후, TR4: 약 투여 4분후
    주요결과변수 2
    평가항목
    깊은 진정 하에 BIS와 PLE의 변화치
    평가시기
    T end:  수술종료, TRV0: 신경근차단역전제 또는 위약 투여, TRV1: 약 투여 1분 후, TRV2: 약 투여 2분 후, TRV3: 약 투여 3분 후, TRV4: 약 투여 4분 후
    보조결과변수 1
    평가항목
    BIS의 하부모수(SEF, SynchFastSlow, BetaRatio)
    평가시기
    얕은 진정 및 깊은 진정 시 기록시점 모두
    보조결과변수 2
    평가항목
    PLE의 하부모수(PLE1, PLE2)의 변화치
    평가시기
    얕은 진정 및 깊은 진정 시 기록시점 모두
    보조결과변수 3
    평가항목
    BIS의 EMG
    평가시기
    얕은 진정 및 깊은 진정 시 기록시점 모두
    보조결과변수 4
    평가항목
    PLE의 EMG
    평가시기
    얕은 진정 및 깊은 진정 시 기록시점 모두
    보조결과변수 5
    평가항목
    의식소실 시 프로포폴 농도
    평가시기
    의식소실 시
  • 11. 연구결과 및 발표

    연구결과 및 발표 정보 - 연구결과 등록유형, 최종 연구대상자 수, 논문게재건수, 논문, 결과 업로드, 연구결과 등록일, 프로토콜 URL 또는 파일 업로드, 결과요약 등
    연구결과 등록유형 아니오(No)
  • 12. 연구데이터 공유(익명화된 연구대상자 데이터)

    연구데이터 공유(익명화된 연구대상자 데이터) 계획
    연구데이터 공유 계획 아니오(No)
화면 최상단으로 이동

TOP

BOTTOM

화면 최하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