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S등록번호 | KCT0006064 |
---|---|
연구고유번호 | KHNMC 2020-09-028-004 |
요약제목 | 인공지능기반의 유방영상 판독 보조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다기관 전향적 유방암 검진 코호트 연구 |
연구제목 | 인공지능기반의 유방영상 판독 보조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다기관 전향적 유방암 검진 코호트 연구 |
연구약어명 | AI : Artificial Intelligence |
식약처규제연구 | 아니오(No) |
IND/IDE Protocol여부 | 아니오(No) |
타등록시스템 등록여부 | 아니오(No) |
타등록시스템/등록번호 | |
임상연구 요양급여 적용 신청 여부 |
해당연구 아님(Not applicable) |
승인상태 | 제출 후 승인(Submitted approval) |
---|---|
승인번호 | KHNMC 2020-09-028-004 |
승인일 | 2021-02-03 |
위원회명 | 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
위원회주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동남로 892 |
위원회 전화번호 | 02-440-8107 |
자료모니터링위원회 | 아니오(No) |
연구책임자 | |
---|---|
성명 | 류정규 |
직위 | 교수 |
전화번호 | 02-440-6188 |
기관명 | 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
연구실무담당자 | |
성명 | 김선화 |
직위 | 연구간호사 |
전화번호 | 02-440-6188 |
기관명 | 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
등록관리자 | |
성명 | 김선화 |
직위 | 연구간호사 |
전화번호 | 02-440-6188 |
기관명 | 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
연구참여기관 | 다기관 (기관수 : 5) |
---|---|
전체연구모집현황 | 모집 중(Recruiting) |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 2021-02-04 , 실제등록(Actual) |
목표대상자 수 | 32,714 명 |
자료수집종료일 | |
연구종료일 | |
참여기관별 연구진행현황 1 | |
기관명 | 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
연구모집현황 | 모집 중(Recruiting) |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 2021-02-04 , 실제등록(Actual) |
참여기관별 연구진행현황 2 | |
기관명 | 노원을지대학교병원 |
연구모집현황 | 대상자 모집 전(Not yet recruiting) |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 2021-03-02 , 예정(Anticipated) |
참여기관별 연구진행현황 3 | |
기관명 | 차의과학대학교분당차병원 |
연구모집현황 | 대상자 모집 전(Not yet recruiting) |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 2021-03-02 , 예정(Anticipated) |
참여기관별 연구진행현황 4 | |
기관명 |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
연구모집현황 | 대상자 모집 전(Not yet recruiting) |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 2021-03-02 , 예정(Anticipated) |
참여기관별 연구진행현황 5 | |
기관명 | 건국대학교병원 |
연구모집현황 | 대상자 모집 전(Not yet recruiting) |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 2021-03-02 , 예정(Anticipated) |
연구비지원기관 1 | |
---|---|
기관명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기관종류 | 정부 |
연구과제번호 | 202015X28 |
연구책임기관 1 | |
---|---|
기관명 | 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
기관종류 | 의료기관 |
연구요약 | 유방촬영술의 판독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유방촬영술에서 유방암을 자동을 찾는 판독보조 소프트웨어들이 개발되었으며, 여러 선행 연구들에서 그 효용성을 인정받고 있음.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의 판독보조 소프트웨어에 의한 유방암 선별검사의 질적 향상 효과를 국내 5개의 의료기관에서 검증할 예정임.
본 연구는 국가유방암 선별검사를 목적으로 내원한 수검자들을 중에서 본 연구에 동의서를 작성한 자를 대상으로 함. 모든 영상은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단독으로 1차 판독을 하고, 판독보조 소프트웨어의 분석결과를 확인한 후 2차 판독을 수행함. 1차와 2차 판독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판독보조 소프트웨어의 이용에 의한 효용성을 평가할 예정임. |
---|
연구종류 | 관찰연구(Observational Study) | |
---|---|---|
관찰연구모형 | Cohort | |
연구관점 | 전향적(Prospective) | |
목표대상자 수 | 32,714 명 | |
관찰군 수 | 1 | |
관찰군 1 | 관찰군명 | 국가암검진 대상자로 유방암 검진을 시행하는 여성 |
상세내용 | 40세 이상의 국가 유방암 선별검사를 목적으로 내원한 여성 | |
생물자원 저장 | 저장안함(Not collect nor Archive) | |
생물자원 종류 |
연구모집단설명 | 해당 연도의 국가암검진 대상자로 유방암 검진을 위해서 내원한 40세 이상 여성 | |
---|---|---|
대상자추출방법 | 국가검진프로그램의 유방촬영술 촬영을 위해 방문한 40세 이상 여성 중에서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함. | |
연구대상 상태/질환 |
* 신생물 유방암 |
|
희귀질환 여부 | 아니오(No) | |
대상자 포함기준 | 성별 | 여성(Female) |
연령 | 40 세(Year) ~ No Limit | |
내용 | 1.해당 연도의 국가암검진 대상자로 유방암 검진을 위해서 내원한 여성
2.연구참여 동의서에 동의하고 연구용 설문지를 작성한 경우 |
|
대상자 제외기준 | 1.과거 또는 현재 유방암 환자
2.임신 중이거나 향후 1년 이내에 임신을 계획하는 경우 3.유방 수술 과거력 (유방성형수술 또는 파라핀이나 실리콘 등의 이물질을 삽입한 경우) 4.진단 목적의 유방촬영술 |
|
건강인 참여 여부 | 아니오(No) |
주요결과변수 유형 | 유효성(Efficacy) |
---|---|
주요결과변수 1 | |
평가항목 | 유방암 검출률 |
평가시기 | 대상자 모집 완료 후 |
보조결과변수 1 | |
평가항목 | 소환률 |
평가시기 | 대상자 모집 완료 후 |
보조결과변수 2 | |
평가항목 | 간격암 |
평가시기 | 2년 추적관찰 후 |
보조결과변수 3 | |
평가항목 | 예민도 |
평가시기 | 2년 추적관찰 후 |
보조결과변수 4 | |
평가항목 | 특이도 |
평가시기 | 2년 추적관찰 후 |
연구결과 등록유형 | 아니오(No) |
---|
연구데이터 공유 계획 | 아니오(N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