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정보 국문

주요우울증에서 뉴로피드백이 기능회복 및 생체지표에 미치는 효과

상태 등록

  • 최초제출일

    2019/07/30

  • 검토/등록일

    2019/08/12

  • 최종갱신일

    2020/07/01

CRIS 필수등록항목입니다.

WHO ICTRP (International Clinical Trial Registry Platform)에서 요구하는 필수등록항목입니다.

  • 1. 연구개요

    연구개요 - CRIS등록번호, 연구고유번호, 요약제목, 연구제목, 연구약어명, 식약처규제연구, IND/IDE Protocol 여부, 타등록시스템 등록여부, 임상연구 요양급여적용 신청 여부
    CRIS등록번호 KCT0004183
    연구고유번호 YUMC 2014-01-389
    요약제목 치료저항성 우울증에 대한 뉴로피드백 부가치료의 효과
    연구제목 주요우울증에서 뉴로피드백이 기능회복 및 생체지표에 미치는 효과
    연구약어명 TRD_NFB
    식약처규제연구 아니오(No)
    IND/IDE Protocol 여부 아니오(No)
    타등록시스템 등록여부 예(Yes)
    타등록시스템/등록번호 ClinicalTrials.gov-NCT04078438
    임상연구 요양급여 적용 신청 여부 해당연구 아님(Not applicable)
  • 2. 임상연구윤리심의

    임상연구윤리심의 - 승인상태, 승인번호, 승인일, 위원회정보, 자료모니터링위원회로 구성된 임상연구윤리심의
    승인상태 제출 후 승인(Submitted approval)
    승인번호 YUH-14-0389-B4
    승인일 2014-06-27
    위원회명 영남대학교병원 임상연구위원회
    위원회주소 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 170
    위원회 전화번호 053-624-8352
    자료모니터링위원회 아니오(No)
  • 3. 연구자

    연구자정보 - 연구책임자 성명, 직위, 기관명, 연구실무담당자 성명, 직위, 기관명, 등록관리자 성명, 직위, 기관명
    연구책임자
    성명 천은진
    직위 의학과교수, 의학박사
    전화번호 053-620-3340
    기관명 영남대학교병원
    주소 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 170,
    연구실무담당자
    성명 천은진
    직위 의학과교수, 의학박사
    전화번호 053-620-3340
    기관명 영남대학교병원
    주소 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 170,
    등록관리자
    성명 이영지
    직위 임상조교수, 의학박사
    전화번호 055-214-2350
    기관명 창원경상대학교병원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삼정자로 11,
  • 4. 연구현황

    연구현황 정보 - 연구참여기관, 전체연구모집현황,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목표대상자 수, 자료수집종료일, 연구종료일, 참여기관 기관명, 참여기관 연구모집현황, 참여기관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참여기관 첫 연구대상자 등록여부
    연구참여기관 단일
    전체연구모집현황 연구종결(Completed)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14-09-19 실제등록(Actual)
    목표대상자 수 90 명
    자료수집종료일 2019-12-27 , 실제등록(Actual)
    연구종료일 2020-02-08 , 실제등록(Actual)
    참여기관별 연구진행현황 1
    기관명 영남대학교병원
    연구모집현황 연구종결(Completed)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14-09-19 , 실제등록(Actual)
  • 5. 연구비지원기관

    연구비지원기관 정보 - 연구비지원기관 기관명, 기관종류, 연구과제번호
    1. 연구비지원기관
    기관명 영남대학교병원
    기관종류 의료기관 (Medical Institute)
    연구과제번호 YUMC 2014-01-389
  • 6. 연구책임기관

    연구비지원기관 정보 - 연구책임기관 기관명, 연구책임기관 기관종류
    1. 연구책임기관
    기관명 영남대학교병원
    기관종류 의료기관 (Medical Institute)
  • 7. 연구요약

    연구요약 정보
    연구요약
    우울증은 가장 흔한 정신과 질환 중의 하나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2011년 역학조사에서 시점 유병률이 6.7%, 평생유병률이 3-5% 정도로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인구의 5-10%가 주요우울장애를 앓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한 질병의 전반적 부담(global burden of disease)으로 주요우울증이 1990년에 모든 질환 중 4위를 차지하였고 2030년에는 1위가 될 것임을 예고하였다. 
    우울증은 개인의 정신적 고통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성인병과 같은 신체적 질환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며 사회적 수행능력을 저하시킨다. 더구나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자살 문제에 있어서도 자살을 시도한 환자의 80% 정도가 우울증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신경정신의학 2판, 2005)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들의 한계는 환자의 증상 경감만을 목표로 하여 실제 환자의 삶의 질이나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의 회복을 다룬 연구들이 드물다. 기존의 약물치료들은 이처럼 삶의 질이나 기능의 회복까지 가져오는 데에는 많은 한계를 보였다. 
    EEG Biofeedback은 뉴로피드백이라고도 불리우며, 환자의 뇌파를 이용하여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 기전에 의해 뇌기능을 향상시키는 일종의 생체되먹임(biofeedback) 훈련이다. 인간의 뇌는 다양한 신경회로로 구성되어 작동이 되며 우울증과 같은 기능적 뇌질환이 발생하는 경우 이와 연관된 신경회로의 병적인 기전에 의해 뇌파에도 이상이 발생하며, 뉴로피드백은 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청각 및 시각적 자극을 이용해서 이를 다시 회복하도록 환자 스스로가 훈련하는 방법이다. 현재까지 의존성이나 특별한 부작용이 보고된 바 없다. 
    뉴로피드백은 치료저항성 경련장애 환자에 대한 치료로부터 시작하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우울장애 및 불안장애의 치료로 사용되고 있다. 뉴로피드백의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기전에 대해서는 뇌의 기능적 연결성의 상향조절, 백질 및 회백질의 미세구조변화 등이 보고되었다. 
    2011년 Choi 등이 시행한 예비연구는 우울증 환자에 대한 뉴로피드백의 효과를 알아본 첫 번째 무작위 대조군 연구로 우울증 환자에서 전두엽의 비대칭적인활성화(frontal asymmetric activation)를 시행한 결과 우측 전두엽의 상대적인 알파파 세기(relative alpha power)의 증가를 보였다. 이런 변화는 훈련을 마친 한 달 후에도 지속 되었으며 정신치료만 시행한 대조군에서는 이런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처럼 비대칭 훈련을 통해 좌측 전두엽 기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우울증상의 완화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뉴로피드백 훈련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기분 증상 뿐 아니라 실행기능이 호전되는 것을 통해 전두엽의 비대칭 훈련이 감정을 조절하고 정상화할 뿐 아니라 좌측 전두엽 기능을 촉진할 수도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처럼 뉴로피드백의 우울증에서의 치료효과와 그 기전에 대한 연구들이 시행되고 있으나 뉴로피드백으로 인한 우울증 환자의 삶의 질과 기능회복, 생체지표변화들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뇌유래 신경영양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는 신경보호단백질인 뉴로트로핀의 한 가지로 신경세포의 발달, 유지 및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러 연구를 통해 주요 우울증 환자가 치료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BDNF가 우울하지 않은 사람과 비교해 낮게 측정이 되며 항우울제 치료에 효과를 보이는 경우 BDNF가 정상 범위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에서의 뉴로피드백이 우울증상과 기능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뉴로피드백 전후 뇌파 및 뇌유래 신경영양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등의 생체지표를 측정하여 뉴로피드백이 우울증 환자의 뇌기능 및 신경가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8. 연구설계

    연구설계 정보 - 연구종류, 연구목적, 임상시험단계, 중재모형, 눈가림, 눈가림 대상자, 배정, 중재종류, 중재상세설명, 중재군 수, 중재군명, 중재군 목표대상자 수, 중재군 유형, 중재군 상세내용
    연구종류 중재연구(Interventional Study)
    연구목적
    보조적 치료(Supportive Care)
    임상시험단계 해당사항없음(Not applicable)
    중재모형 평행설계(Parallel)  
    눈가림 사용안함(Open)
    배정 비무작위배정(Non-RCT)
    중재종류 의료기구(Medical Device)  
    중재상세설명
    뉴로피드백 부가 치료 군은 12 주 간 약물 치료와 12-24 회의 뉴로피드백 훈련을 함께 받도록 한다. 뉴로피드백 프로토콜은 환자의 주요 증상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뉴로피드백 부가 치료 군의 환자는 각 세션에서 30 분 동안 sensorimotor rhythm (SMR) beta 또는 베타 훈련을 받은 다음 30 분 동안 알파/세타 훈련을 받기로 되어 있다.
    교란 요인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약물 단독 치료군은 뉴로피드백 부가 치료 군과 동일한 일정으로 방문하여 뉴로피드백 훈련 대신 psychotherapy placebo session을 가진다. 이 세션에는 심리적 평가와 지지적 심리 치료가 포함되어 있다. 약물 단독 치료 군은 연구 이전과 동일한 약물을 연구 기간 동안 유지한다.
    매 회 방문 시 환자는 뉴로피드백(neurocybernetics model, neurocybernetics, USA)을 사용하여 F3/T3부위에 베타훈련 또는 T4에 SMR훈련을 30분동안 받은 후 Pz 부위에 30분 동안 알파/세타훈련을 받는다. SMR/베타 훈련 프로토콜 동안 환자는 컴퓨터게임을 수행한다. 뇌의 전기적 활성은 시청각 훈련으로 모니터에 표시되며, 보상 피드백은 훈련과정 중과 훈련 후 성취점수와 그래프로 나타내어진다. Pz 부위에 알파/세타 훈련 프로토콜을 하는 동안 환자는 눈을 감고 의자에 앉아 청각 피드백만을 받는다. SMR 훈련에서 강화하고자 하는 뇌파영역(reward band)은 12-15Hz 이며, 베타훈련에서는 15-18Hz이다. 알파세타 훈련동안 환자는 12 mV 이상(peak to peak)의 알파파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세타파를 증가시켜 알파파 진폭이 세타파보다 떨어져 교차하는 지점을 이룬다. 세타파보다 알파파가 높은 상태에서는 계곡물 소리로 보상되며, 세타파가 알파파보다 높은 상태(alpha-theta crossover)에서는 파도소리로 보상된다. 세타파와 알파파의 강화하고자 하는 뇌파영역(reward band)은 각각 5-8Hz와 15-18Hz이다.
    중재군 수 3
    중재군 1

    중재군명

    뉴로피드백 부가 치료 군

    목표대상자 수

    30 명

    중재군유형

    시험군(Experimental)

    상세내용

    환자의 주증상과 일상생활기능 장애 정도를 고려하여 주 1회 실시되는 뉴로피드백 팀 미팅에서 뉴로피드백에 전문성을 가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뉴로피드백 protocol을 결정한다. 치료를 주 1-2회로 12주간 총 12-24회로 시행한다. 
    치료 protocol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환자의 상태에 따라 뉴로피드백 팀 미팅에서 논의 후 변경이 가능하다. 
    
    치료 전 혈액 샘플을 채취하고, 치료 종결 후의 혈액 샘플을 추가로 채취한다. 또한 치료 전, 치료 1주차, 4주차, 치료 종결 시점에 해밀턴 우울증 평가척도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M-D), 벡 우울증 척도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BDI-II), 전반적 임상 인상-중증도 척도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CGI-S),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European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5-Dimensional Classification; EQ-5D), 시한 장애 척도 (Sheehan Disability Scale; SDS)를 평가한다.
    중재군 2

    중재군명

    건강한 성인

    목표대상자 수

    30 명

    중재군유형

    비중재군(No intervention)

    상세내용

    연구 시작 시점에 1회 혈액 샘플 채취를 시행
    중재군 3

    중재군명

    약물 단독치료 군

    목표대상자 수

    30 명

    중재군유형

    활성 대조군(Active comparator)

    상세내용

    통상치료군은 기존의 약물치료를 지속한다.
    혼동변수를 줄이기 위해 약물 단독치료군은 뉴로피드백 부가 치료 군과 동일한 일정으로 방문하였으며, 뉴로피드백 훈련 대신 심리학적 평가와 지지적 정신치료의 내용이 포함된 psychotherapy placebo sessions을 받도록 하였다. 
    치료 전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으며, 치료 종결 후의 혈액 샘플을 추가로 채취한다. 또한 치료 전, 치료 1주차, 4주차, 치료 종결 시점에 해밀턴 우울증 평가척도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M-D), 벡 우울증 척도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BDI-II), 전반적 임상 인상-중증도 척도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CGI-S),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European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5-Dimensional Classification; EQ-5D), 시한 장애 척도 (Sheehan Disability Scale; SDS)를 평가한다.
  • 9. 대상자선정기준

    대상자선정기준 정보 - 연구대상 상태/질환, 희귀질환 여부, 대상자 포함기준 성별, 대상자 포함기준 연령, 대상자 포함기준 내용, 대상자 제외기준, 건강인 참여 여부
    연구대상 상태 / 질환

    질환분류

    (F00-F99)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F00-F99)정신 및 행동 장애
    (F32.2)Severe depressive episode without psychotic symptoms (F32.2)정신병적 증상이 없는 중증의 우울에피소드 
    환자 중 진단통계편람 4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이하 DSM-IV)에 의해 주요우울장애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희귀질환 여부 아니오(No)
    대상자 포함기준

    성별

    둘다(Both)

    연령

    18세(Year)~No Limit
    DSM-IV-TR의 진단기준에 따라 주요우울증으로 진단되었으며 적절한 항우울제 치료 (최소 2가지 이상의 항우울제를 치료 효과를 볼 만한 충분한 기간동안 유효용량으로 복용)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울증상이 완전관해 되지 않고 불완전관해 상태인 경우로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AM-D) ≥ 14 인 경우
    대상자 제외기준
    조현병, 양극성 장애, 기타 정신증의 병력이 있는 경우 
    경련성 장애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심각한 두부 외상이 있었던 경우 
    임상적으로 신경학적 장애가 있는 경우
    건강인 참여 여부 예(Yes)
  • 10. 결과변수

    결과변수 정보 - 주요결과변수 유형, 주요결과변수 평가항목, 주요결과변수 평가시기, 보조결과변수 평가항목, 보조결과변수 평가시기
    주요결과변수 유형 유효성(Efficacy)
    주요결과변수 1
    평가항목
    해밀턴 우울척도
    평가시기
    치료시작전, 4주, 12주 시점
    주요결과변수 2
    평가항목
    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시기
    치료시작전, 4주, 12주 시점
    보조결과변수 1
    평가항목
    벡우울척도
    평가시기
    치료시작전, 4주, 12주 시점
    보조결과변수 2
    평가항목
    시한장애척도
    평가시기
    치료시작전, 4주, 12주 시점
    보조결과변수 3
    평가항목
    전반적 임상 인상 경중도 척도
    평가시기
    치료시작전, 4주, 12주 시점
    보조결과변수 4
    평가항목
    혈청 뇌유래 신경영양인자
    평가시기
    기저와 12주 치료 후 혈청 BDNF를 오전 11시와 12시 사이에 측정하였다.
    보조결과변수 5
    평가항목
    부작용
    평가시기
    연구 진행 중 언제든
  • 11. 연구결과 및 발표

    연구결과 및 발표 정보 - 연구결과 등록유형, 최종 연구대상자 수, 논문게재건수, 논문, 결과 업로드, 연구결과 등록일, 프로토콜 URL 또는 파일 업로드, 결과요약 등
    연구결과 등록유형 예(Yes)
    논문으로 출판됨(Published)
    최종 연구대상자 수 70 명
    논문게재건수 1
    논문 1 Young-Ji Lee, Ga-Won Lee, Wan-Seok Seo, Bon-Hoon Koo, Hye-Geum Kim, Eun-Jin Cheon. Neurofeedback treatment on depressive symptoms and functional recovery in treatment-resistant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 open-label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SCI. 2019-11-04 ,  VOL : 34 페이지 : 287 ~ 287 https://doi.org/10.3346/jkms.2019.34.e287
    결과 업로드  
    연구결과 등록일 2020/07/01
    프로토콜 URL 또는 파일 업로드  
    결과요약
    본 연구에서는 뉴로피드백 치료군에서 HAM-D, CGI-S, BDI-II, EQ-5D, SDS, EQ-5D-5L tariff 점수가 치료 후 유의하게 변화했고, 50% 이상의 반응률, 관해율을 보여주었다. 또한 뉴로피드백 치료군에서 HAM-D, EQ-5D-5L, SDS, EQ-5D-5L tariff 점수의 변화가 약물치료 단독군에 비해 유의하게 컸다. BDNF는 모든 군에서 치료 전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표본수가 작다는 한계가 있지만, 본 연구는 치료저항성 우울장애 환자에서 뉴로피드백 부가치료가 우울증상 뿐 아니라 기능의 호전에도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12. 연구데이터 공유(익명화된 연구대상자 데이터)

    연구데이터 공유(익명화된 연구대상자 데이터) 계획
    연구데이터 공유 계획 아니오(No)
화면 최상단으로 이동

TOP

BOTTOM

화면 최하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