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정보 국문

보행 시 팔걸이와 빠른 보행이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보행변수에 미치는 영향

상태 등록

  • 최초제출일

    2019/05/26

  • 검토/등록일

    2019/06/12

  • 최종갱신일

    2019/06/10

CRIS 필수등록항목입니다.

WHO ICTRP (International Clinical Trial Registry Platform)에서 요구하는 필수등록항목입니다.

  • 1. 연구개요

    연구개요 - CRIS등록번호, 연구고유번호, 요약제목, 연구제목, 연구약어명, 식약처규제연구, IND/IDE Protocol 여부, 타등록시스템 등록여부, 임상연구 요양급여적용 신청 여부
    CRIS등록번호 KCT0004057
    연구고유번호 jjIRB-180712-HR-2019-0412
    요약제목 보행 시 팔걸이와 빠른 보행이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보행변수에 미치는 영향
    연구제목 보행 시 팔걸이와 빠른 보행이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보행변수에 미치는 영향
    연구약어명 EUGSP
    식약처규제연구 아니오(No)
    IND/IDE Protocol 여부 아니오(No)
    타등록시스템 등록여부 아니오(No)
    임상연구 요양급여 적용 신청 여부 해당연구 아님(Not applicable)
  • 2. 임상연구윤리심의

    임상연구윤리심의 - 승인상태, 승인번호, 승인일, 위원회정보, 자료모니터링위원회로 구성된 임상연구윤리심의
    승인상태 제출 후 승인(Submitted approval)
    승인번호 jjIRB-180712-HR-2016-0412
    승인일 2019-05-02
    위원회명 전주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jjIRB)
    위원회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천잠로 303
    위원회 전화번호 063-220-2963
    자료모니터링위원회 아니오(No)
  • 3. 연구자

    연구자정보 - 연구책임자 성명, 직위, 기관명, 연구실무담당자 성명, 직위, 기관명, 등록관리자 성명, 직위, 기관명
    연구책임자
    성명 홍승현
    직위 학부생
    전화번호 063-903-2322
    기관명 전주대학교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천잠로 303
    연구실무담당자
    성명 홍승현
    직위 학부생
    전화번호 063-903-2322
    기관명 전주대학교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천잠로 303
    등록관리자
    성명 홍승현
    직위 학부생
    전화번호 063-903-2322
    기관명 전주대학교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천잠로 303
  • 4. 연구현황

    연구현황 정보 - 연구참여기관, 전체연구모집현황,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목표대상자 수, 자료수집종료일, 연구종료일, 참여기관 기관명, 참여기관 연구모집현황, 참여기관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참여기관 첫 연구대상자 등록여부
    연구참여기관 단일
    전체연구모집현황 모집추가없이 진행중(Active, not recruiting)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19-05-02 실제등록(Actual)
    목표대상자 수 30 명
    자료수집종료일 2019-07-31 , 예정(Anticipated)
    연구종료일 2019-07-31 , 예정(Anticipated)
    참여기관별 연구진행현황 1
    기관명 전주대학교
    연구모집현황 모집추가없이 진행중(Active, not recruiting)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19-05-02 , 실제등록(Actual)
  • 5. 연구비지원기관

    연구비지원기관 정보 - 연구비지원기관 기관명, 기관종류, 연구과제번호
    1. 연구비지원기관
    기관명 전주대학교
    기관종류 대학교 (University)
    연구과제번호 jjIRB-180712-HR-2019
  • 6. 연구책임기관

    연구비지원기관 정보 - 연구책임기관 기관명, 연구책임기관 기관종류
    1. 연구책임기관
    기관명 전주대학교
    기관종류 대학교 (University)
  • 7. 연구요약

    연구요약 정보
    연구요약
    뇌졸중은 뇌혈관의 문제로 인하여 운동 기능 손상, 인지 능력 저하, 감각 능력 등의 여러 가지 기능 손실 등을 동반하며, 특히 몸 한쪽에 집중하여 나타나는 편마비 증상이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편마비 증상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 시 비 마비 측으로 체중 부하를 더 주게 되며, 보행 주기 동안의 마비 측의 체중지지 능력을 감소시켜 비정상적인 보행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기능 회복에 있어서 보행 기능의 향상은 재활 부분에서 가장 큰 목표 중 하나가 된다. 
    보행은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일반적 보행 시 상지와 하지에서 여러 관절의 협응이 이루어져 교대로 움직임을 만들게 되며, 이때 상지의 역할은 골반에서 같은 방향으로 일어나는 회전의 보상을 막기 위해 반대방향으로 팔을 회전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하며, 체간이 안정화 되게 하여 에너지가 과소비 되는 것을 막는다. 하지만, 뇌졸중 환자의 대부분은 다리 기능 회복보다 상지 기능 회복이 느리거나, 상지의 기능 장애가 심하게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Wagenaar와 Van Emmerik 는 팔의 움직임은 높은 보행 속도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걷는 속도가 느린 속도에서 정상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수동적 팔 운동에서보다 능동적인 팔 운동으로 전환된다고 하였다. Milosevic 등은 팔 움직임의 사용은 움직임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임상적 이동성 검사 점수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Meyns 등은 팔을 사용하지 않는 팔꿈치 구축이 있는 환자들은 팔의 움직임 부족으로 인하여 보행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그리고, Brooke 는 대칭적으로 움직이는 양 팔의 진자 움직임에 방해를 가하면 보행 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Bruijn 등은 보행 동안 팔 움직임 제한은 더 느리고 덜 안정한 보행을 발생시킨다고 하였고, Faghri 등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들이 아탈구 감소나 통증을 줄이기 위해 착용하는 팔 고정은 팔의 굽힘 시너지를 증가 시킬 뿐만 아니라 기능적 이동성에 방해를 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Williams 등은 뇌졸중으로 인해 주의력 결핍과 무시를 가지고 있는 편마비 환자들에게 마비된 쪽의 자세를 올바르게 하고 더 집중 시킬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 걷기 시 팔 슬링을 사용했을 때의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Stephenson 등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보행 재활을 위해 팔 움직임을 포함된 재활 프로그램을 추가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Eke-OkoroST 등과 Ford 등은 걷는 동안 팔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것은 보행 특성과 움직임 조절 패턴에서 부정적인 변화를 유도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Yavuzer와 Ergin 는 편마비 환자와 정상인을 대상으로 팔 움직임을 제한한 집단에게 편안한 속도의 정상인 보행에서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렇듯,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보행 시 팔 고정과 관련된 연구 결과가 서로 다르거나 장단점을 다르게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편마비를 가진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지 고정과 이에 따른 보행 속도가 시공간적 보행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8. 연구설계

    연구설계 정보
    연구종류 관찰연구(Observational Study)
    관찰연구모형 Case-only
    연구관점 단면연구(Cross-sectional)  
    목표대상자 수 30명
    관찰군 수 1
    관찰군 1

    관찰군명

    뇌졸중 환자

    상세내용

    ◦최초 뇌졸중 진단을 받은 자, 
    ◦뇌졸중 발병시점이 6개월 이상인 만성 뇌졸중 환자
    ◦연구자가 지시하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의식 수준이 명료한 자
    ◦정신상태 검사(MMSE-K) 23점 이상을 받은 자
    ◦균형검사(Berg Balance Scale)에서 41점 이상을 받은 자
    - 해당 대상자들로 보행분석판 위에서 치료사의 보조로 평상시 걷는 보행, 팔걸이 후 평상시 걷는 보행, 빠르게 걷는 보행, 팔걸이 후 빠르게 걷는 보행을 각 3번씩 총 12번 보행을 측정한다
    생물자원 저장 저장안함(Not collect nor Archive)
    생물자원 종류
    
    													
  • 9. 대상자선정기준

    대상자선정기준 정보 - 연구대상 상태/질환, 희귀질환 여부, 대상자 포함기준 성별, 대상자 포함기준 연령, 대상자 포함기준 내용, 대상자 제외기준, 건강인 참여 여부
    연구모집단설명
    연구대상자 모집을 위해 전주 드림솔병원 중추재활치료실의 협조를 얻어 센터 게시판에 모집문건을 게시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대상자 30명을 모집 할 것이다
    대상자추출방법
    대상자 추출 방법으로는 비확률추출법(Non-probablity sampling) 중 판단표준추출법을 사용하여 다음 조건 하에 연구자의 실험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특정 집단을 표본으로 선정한다.
    ◦최초 뇌졸중 진단을 받은 자, 
    ◦뇌졸중 발병시점이 6개월 이상인 만성 뇌졸중 환자
    ◦연구자가 지시하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의식 수준이 명료한 자
    ◦정신상태 검사(MMSE-K) 23점 이상을 받은 자
    ◦균형검사(Berg Balance Scale)에서 41점 이상을 받은 자
    연구대상 상태 / 질환

    질환분류

    (I00-I99)Diseases of the circulatory system (I00-I99)순환계통의 질환
    (I64)Stroke, not specified as haemorrhage or infarction (I64)출혈 또는 경색증으로 명시되지 않은 뇌졸중 
    뇌졸중 발병 시점이 6개월 이상인 만성 뇌졸중 환자이며 연구자가 지시하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의식 수준이 명료한자, 정신상태검사(MMSE-K) 23점 잇아을 받고, 균형검사(Berg Balance Scale)에서 41점 이상을 받은 자 / 만성 뇌졸중 환자
    희귀질환 여부 아니오(No)
    대상자 포함기준

    성별

    둘다(Both)

    연령

    40세(Year)~No Limit
    - 최초 뇌졸중으로 진단을 받은 자
    - 발병 6개월 이상인 만성 뇌졸중 환자
    - 10M 독립보행이 가능한 자
    - 다른 신경학적 질환이나 골절, 절단이 있는 자
    - 하지의 정형 외과적 질환 및 고관절에 수술 경력이 없는 자
    - 보행에 영향을 주는 근 골격계 손상이 있는 자
    - 연구자가 지시하는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는 의식수준이 명료한 자
    -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23점 이상을 받은 자 
    - 균형검사(Berg Balance Scale)에서 41점 이상을 받은 자
    - 성별은 불문하고, 연령은 40세 이상인 자
    대상자 제외기준
    ·MMSE-K 평가에서 23점미만을 받은 자,
    ·균형검사(BBS)에서 41점미만을 받은 자는 제외하고자 한다.
    건강인 참여 여부
  • 10. 결과변수

    결과변수 정보 - 주요결과변수 유형, 주요결과변수 평가항목, 주요결과변수 평가시기, 보조결과변수 평가항목, 보조결과변수 평가시기
    주요결과변수 유형 유효성(Efficacy)
    주요결과변수 1
    평가항목
    보폭
    평가시기
    2019년 6월 1일
    주요결과변수 2
    평가항목
    보폭 너비
    평가시기
    2019년 6월 1일
    보조결과변수 1
    평가항목
    속도
    평가시기
    2109년 6월 1일
  • 11. 연구결과 및 발표

    연구결과 및 발표 정보 - 연구결과 등록유형, 최종 연구대상자 수, 논문게재건수, 논문, 결과 업로드, 연구결과 등록일, 프로토콜 URL 또는 파일 업로드, 결과요약 등
    연구결과 등록유형 아니오(No)
  • 12. 연구데이터 공유(익명화된 연구대상자 데이터)

    연구데이터 공유(익명화된 연구대상자 데이터) 계획
    연구데이터 공유 계획 아니오(No)
화면 최상단으로 이동

TOP

BOTTOM

화면 최하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