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정보 국문

신경병리 연구기반 및 치매 뇌부검 레지스트리 구축

상태 등록

  • 최초제출일

    2018/12/20

  • 검토/등록일

    2019/02/15

  • 최종갱신일

    2020/10/28

CRIS 필수등록항목입니다.

WHO ICTRP (International Clinical Trial Registry Platform)에서 요구하는 필수등록항목입니다.

  • 1. 연구개요

    연구개요 - CRIS등록번호, 연구고유번호, 요약제목, 연구제목, 연구약어명, 식약처규제연구, IND/IDE Protocol 여부, 타등록시스템 등록여부, 임상연구 요양급여적용 신청 여부
    CRIS등록번호 KCT0003516
    연구고유번호 1720180045
    요약제목 신경병리 연구 기반 및 치매 뇌부검 레지스트리 구축
    연구제목 신경병리 연구기반 및 치매 뇌부검 레지스트리 구축
    연구약어명
    식약처규제연구 아니오(No)
    IND/IDE Protocol 여부
    타등록시스템 등록여부 아니오(No)
    임상연구 요양급여 적용 신청 여부 해당연구 아님(Not applicable)
  • 2. 임상연구윤리심의

    임상연구윤리심의 - 승인상태, 승인번호, 승인일, 위원회정보, 자료모니터링위원회로 구성된 임상연구윤리심의
    승인상태 제출 후 승인(Submitted approval)
    승인번호 H-1808-087-966
    승인일 2018-09-11
    위원회명 서울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
    위원회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
    위원회 전화번호 02-2072-0694
    자료모니터링위원회
  • 3. 연구자

    연구자정보 - 연구책임자 성명, 직위, 기관명, 연구실무담당자 성명, 직위, 기관명, 등록관리자 성명, 직위, 기관명
    연구책임자
    성명 박성혜
    직위 교수
    전화번호 02-2072-3090
    기관명 서울대학교병원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연구실무담당자
    성명 김성익
    직위 연구원
    전화번호 02-2072-4681
    기관명 서울대학교병원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등록관리자
    성명 김성익
    직위 연구원
    전화번호 02-2072-4681
    기관명 서울대학교병원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 4. 연구현황

    연구현황 정보 - 연구참여기관, 전체연구모집현황,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목표대상자 수, 자료수집종료일, 연구종료일, 참여기관 기관명, 참여기관 연구모집현황, 참여기관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참여기관 첫 연구대상자 등록여부
    연구참여기관 단일
    전체연구모집현황 모집 중(Recruiting)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18-11-28 실제등록(Actual)
    목표대상자 수 160 명
    자료수집종료일 2020-11-30 , 예정(Anticipated)
    연구종료일 2020-11-30 , 예정(Anticipated)
    참여기관별 연구진행현황 1
    기관명 서울대학교병원
    연구모집현황 모집 중(Recruiting)
    첫 연구대상자 등록일 2018-11-28 , 실제등록(Actual)
  • 5. 연구비지원기관

    연구비지원기관 정보 - 연구비지원기관 기관명, 기관종류, 연구과제번호
    1. 연구비지원기관
    기관명 질병관리본부
    기관종류 정부 (Government)
    연구과제번호 2018-ER6201-00
  • 6. 연구책임기관

    연구비지원기관 정보 - 연구책임기관 기관명, 연구책임기관 기관종류
    1. 연구책임기관
    기관명 서울대학교병원
    기관종류 의료기관 (Medical Institute)
  • 7. 연구요약

    연구요약 정보
    연구요약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우리 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치매를 비롯한 뇌 질환에 대한 질병 부담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 관리 및 치료법 개발이 시급하다. 질병 발병 기전에 대한 근원적인 이해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치료 관리 방법의 확보를 위해서는 뇌조직 연구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동물의 뇌를 이용한 연구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인간의 뇌는 동물의 뇌와 큰 차이가 있으므로, 부검을 통한 사람의 뇌의 구득이 필요하다. 특히 사람의 뇌는 희소성 및 특수성, 그리고 감염의 위험성, 보안의 문제 등이 있어 특수한 관리 및 사용이 필요하다. 이에 국내에도 2014년 국가뇌조직은행과 2015년 서울대병원 뇌 은행이 설립된 이후 여러 병원에서 뇌 기증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뇌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뇌 부검 / 부검진단 / 뇌조직 저장 / 저장 뇌조직의 정도 관리 및 연구를 위한 뇌조직 분양” 의 주체인 신경병리연구 인프라는 절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뇌 부검 표준화 및 치매 뇌조직은행 구축을 통한 국가인프라 확충이 좀 더 필요하다.
    
    또한 기증된 뇌조직을 활용한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뇌조직 자체뿐만 아니라 기증자 생존 시의 임상 및 뇌 영상 정보, 생체시료 등이 함께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정보가 생전에 체계적으로 확보되어 지속적으로 관리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뇌조직을 통해 얻은 병리소견과 임상적인 질병 상태간의 관련성에 대해 제대로 된 연구가 수행될 수 없어 어렵게 확보한 뇌조직 연구 관련 유용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 질환 및 뇌기능 이상 문제 등 뇌 연구를 위하여 인체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귀한 자료인 뇌, 혈액, 뇌척수액, 생검 시료 등의 검체와 이와 관련된 임상 및 뇌 영상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획득 및 보관하여, 뇌 질환의 기전 및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및 중개 연구에 이용할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신경병리 연구기반을 확충하고, 국내외 뇌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뇌기증 동의를 하신 분들은 사망 후 부검 및 뇌 구득. (하단의 대상자 포함기준 참고)
    -	자발적인 의사로 뇌기증 동의를 하신 분들 중 임상자료 수집과 관련된 “서울대학교병원 뇌기증 희망자 등록관리 연구” 참가 동의서를 작성하신 분들은 임상자료 수집.
    
     뇌 자원 보관 및 관리
    -	획득한 뇌 조직자원은 신선동결조직, OCT 포매조직, 파라핀 포매조직 등으로 나누어 보관한다. 신선동결조직은 casette에 넣어 초저온 냉동고 또는 액체질소 냉동고에 냉동 보관한다. OCT 조직은 동결절편 슬라이드를 제작한 다음, 진공포장 하여 초저온 냉동고에 냉동보관하며, 병리의사가 OCT 포매조직이 특별히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가 아니면 생략할 수 있다. 파라핀 포매조직은 조직의 일부를 포르말린으로 고정 후 파라핀 포매조직을 제작하여 H&E 염색을 실시하여 실온에서 보관한다. 뇌 조직자원 이외의 혈액 및 체액 등 검체들은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한다.
    -	서울대학교병원 뇌은행에 등록된 조직은 별도의 폐기 지시가 있을 때까지는 서울대학교병원 뇌은행에서 계속 보관한다.
    
     자원의 분양
    -	서울대학교병원 뇌은행은 기증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신경과학연구의 발전 및 공익을 위한 연구에 보유하고 있는 자원을 적극 분양하여야 한다. 서울대학교병원 뇌은행은 자원 분양 신청자가 소속된 기관위원회 또는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에서 승인 또는 면제 받은 연구과제에 한 해 시료를 분양한다. 
    -	서울대학교병원 뇌은행은 부검 권유 진료팀이 해당 시신(뇌)자원 및 임상자료를 사용하고자 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특별히 규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뇌은행은 일정 기간 동안 부검 권유 진료팀으로부터 사용 허락을 받기로 한 검체에 대해서는 부검 권유 진료팀으로부터 분양 허락을 얻어야 하며 이를 분양심의 운영위원회에서 확인한다. 이 부분에 대하여 부검 권유 진료팀으로부터 사용 허락을 받아야 하는 기간은 운영위원회에서 정한다. 
    -	운영위원회에서 정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뇌조직 등 시신(뇌)자원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부검 권유 진료팀의 의사와 무관하게 뇌은행운영위원회를 열어 허락이 날 때 자원을 사용 희망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부검 권유 진료팀의 공동연구 참여, 학술적 과실 공유를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 8. 연구설계

    연구설계 정보
    연구종류 관찰연구(Observational Study)
    관찰연구모형 Cohort
    연구관점 기타(Others) (전향적 & 후향적)
    목표대상자 수 160명
    관찰군 수 1
    관찰군 1

    관찰군명

    1. 신경병리진단에 의해 분류되는 군 2. 임상진단에 의해 분류되는 군

    상세내용

    1. 신경병리학적 분류시 최종 신경병리진단에 따라 분류한다.
    2. 임상적으로 분류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청장년 정상인
    -	고령 정상인
    -	기억성 단일영역 경도인지장애 (aMCI-S; amnestic single domain mild cognitive impairment)
    -	기억성 다중영역 경도인지장애 (aMCI-M; amnestic multiple domain mild cognitive impairment)
    -	경도인지장애가 아닌 비치매 인지장애 (CIND; cognitive impairment, no dementia)
    -	비기억성 단일영역 경도인지장애 (naMCI-S; non-amnestic single domain mild cognitive impairment)
    -	비기억성 다중영역 경도인지장애 (naMCI-M; non-amnestic multiple domain mild cognitive impairment)
    -	NIA-AA (National institute on aging and alzheimer's association) 유력 알츠하이머병 치매 
    -	NIA-AA (National institute on aging and alzheimer's association) 가능 알츠하이머병
    -	유력 혈관성 치매 (probable VD; vascular dementia)
    -	가능 혈관성 치매 (possible VD; vascular dementia)
    -	유력 루이체 치매 (probable DLB; dementia with lewy bodies)
    -	가능 루이체 치매 (possible DLB; dementia with lewy bodies)
    -	유력 파킨슨병 치매 (probable PDD; parkinson's disease dementia)
    -	가능 파킨슨병 치매 (possible PDD; parkinson's disease dementia)
    -	전측두엽 치매 (FTD; frontotemporal dementia)
    -	진행성 비유창성 실어증 (PNA; progressive nonfluent aphasia)
    -	의미 치매 (SD; semantic dementia)
    -	기타
    
    3. 신경병리학적 진단시 Thal phase, Braak stage, CERAD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score 를 함께 표기한다.
    4. 임상평가시 정신행동증상 평가 척도 (NPI; neuropsychiatric Inventory), 파킨슨병 운동증상 척도 (UPDRSm; motor subscale of the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주관적 기억감퇴 설문 (SMCQ;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노인우울척도 (GDS-KR; revised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인지기능 감퇴여부 예비평가/본평가 (CERAD-K;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기반), 현재 우울삽화 평가 (CADD-K; korean version of clinical assessment of depression in dementia), 일상생활동작 평가 (BDS-ADL; blessed dementia scale-activities of daily living) (CERAD-K 기반), 한국어판 간이 블레스트 검사 (SBT-K; korean version of short blessed test) (CERAD-K 기반), 기본 신경학적 진찰 (CERAD-K 기반), 치매 중증도 평가 (1) CDR; clinical dementia rating (CERAD-K 기반), 치매 중증도 평가 (2) GDS; global deterioration scale 및 필요시 그 외 영상 소견 등을 참고하여 판단한다.
    생물자원 저장 저장: DNA 포함(Collect & Archive: Sample with DNA)
    생물자원 종류
    조직 (뇌 포함), 뇌척수액, 혈청, 혈장, DNA
  • 9. 대상자선정기준

    대상자선정기준 정보 - 연구대상 상태/질환, 희귀질환 여부, 대상자 포함기준 성별, 대상자 포함기준 연령, 대상자 포함기준 내용, 대상자 제외기준, 건강인 참여 여부
    연구모집단설명
    신경계통의 질환, 특히 치매 혹은 경도 이상의 인지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
    대상자추출방법
    비확률 추출법 : 확률적으로 접근하지 않는 표본 추출방법
    연구대상 상태 / 질환

    질환분류

    (F00-F99)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F00-F99)정신 및 행동 장애
    (F03)Unspecified dementia (F03)상세불명의 치매 
    신경계통의 질환 [C10], 특히 치매 [C10.228.140.380]
    치매 [C10.228.140.380] 
    -	에이즈 치매 증후군 [C10.228.140.380.070]
    -	알츠하이머병 [C10.228.140.380.100]
    -	원발성 진행성 실어증 [C10.228.140.380.132]
    -	크로이츠펠트-야곱병 [C10.228.140.380.165]
    -	혈관성 치매 [C10.228.140.380.230]
    -	석회화를 동반한 미만성 신경원섬유 매듭 (Diffuse Neurofibrillary Tangles with Calcification) [C10.228.140.380.254]
    -	전측두엽 변성 [C10.228.140.380.266]
    -	헌팅턴병 [C10.228.140.380.278]
    -	클뤼버-부시 증후군 [C10.228.140.380.326]
    -	루이체 병 [C10.228.140.380.422]
    정신장애 [F03], 특히 인지기능장애 [F03.615.250.700]
    희귀질환 여부 아니오(No)
    대상자 포함기준

    성별

    둘다(Both)

    연령

    18세(Year)~No Limit
    1. 기증자, 대리인 또는 유가족이 서울대학교병원 의료진 또는 서울대학교병원 뇌은행 직원으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제공받고, 이를 완전히 이해한 상태에서 사전(死前) 동의의 경우 뇌기증 희망자 등록신청서를, 사후(死後) 동의의 경우 부검 등 동의서와 시신(뇌) 연구동의서를 작성한 경우.
    
    1-1.	위의 동의서가 충족된 사람 중 만 18세 이상의 연락가능한 적절한 정보제공자가 있는 경우에 한해 임상평가, 신경심리검사, 뇌 영상 검사, 채혈 및 기본 혈액 검사를 시행.
    
    2. 법이 정하는 범위 내에서 서울대학교병원 외의 다른 의료기관이나 서울대학교병원 뇌은행 외의 다른 뇌은행이 보관중인 시신 자원을 기탁받은 경우
    1, 2 의 사항들에 해당하는 경우, 기증자의 시신 또는 기탁받은 시신자원으로부터 획득한 뇌 조직, 혈액, 체액 등 검체를 서울대학교병원 뇌은행에 보관함.
    대상자 제외기준
    대상자 제외기준  
    1. 자원의 품질이 보관 가치가 없을 정도로 불량한 경우
    2. 시신(뇌)자원 획득 절차의 문제가 뒤늦게 확인된 경우 
    3. 기타 뇌 기탁을 취소할 사유가 발생한 경우
    1,2,3의 사항들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서울대학교병원 뇌은행 운영위원회의 결정에 의거하여 제외함.
    4. 신경심리검사 수행에 지장을 주는 정도의 심각한 시력이나 청력의 저하의 경우 신경심리검사를 시행하지 아니함.
    건강인 참여 여부 예(Yes)
  • 10. 결과변수

    결과변수 정보 - 주요결과변수 유형, 주요결과변수 평가항목, 주요결과변수 평가시기, 보조결과변수 평가항목, 보조결과변수 평가시기
    주요결과변수 유형 해당사항 없음(Not applicable)
    주요결과변수 1
    평가항목
    신경병리진단
    평가시기
    사망 후
    주요결과변수 2
    평가항목
    최종 인지장애 진단
    평가시기
    생전 첫 방문 및 2년 뒤
    보조결과변수 1
    평가항목
    생물학적 자원 (뇌조직 및 뇌척수액)
    평가시기
    사망 후
    보조결과변수 2
    평가항목
    생물학적 자원 (혈청, 혈장, DNA)
    평가시기
    생전 첫 방문 및 사망 후
    보조결과변수 3
    평가항목
    영상 자원 (자기공명영상, 아밀로이드 양전자단층촬영)
    평가시기
    생전 첫 방문
    보조결과변수 4
    평가항목
    임상평가: 인구학적 정보, 전반적 임상평가 (가족력, 질병력, 투여약물, 신체계측, NPI, UPDRS 등 포함), 인지장애 상세평가
    평가시기
    생전 첫 방문 및 2년 뒤
    보조결과변수 5
    평가항목
    신경심리검사, CERAD-K 신경심리검사
    평가시기
    생전 첫 방문 및 2년 뒤
  • 11. 연구결과 및 발표

    연구결과 및 발표 정보 - 연구결과 등록유형, 최종 연구대상자 수, 논문게재건수, 논문, 결과 업로드, 연구결과 등록일, 프로토콜 URL 또는 파일 업로드, 결과요약 등
    연구결과 등록유형 아니오(No)
  • 12. 연구데이터 공유(익명화된 연구대상자 데이터)

    연구데이터 공유(익명화된 연구대상자 데이터) 계획
    연구데이터 공유 계획 아니오(No)
화면 최상단으로 이동

TOP

BOTTOM

화면 최하단으로 이동